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890∼1900년대에 지어진 집으로, 안채 · 사랑채 · 아래채로 구성된 남도 내륙지역의 주택특성을 많이 보이는 집이다.
대숲과 함께 무성한 나무들이 빽빽하게 자라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안채가 서남향하여 자리하고, 맞은편에 축을 맞추어 사랑채가 배치되었다. 아래채는 서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원래 사당채이었던 것을 개조하여 만들었다.
안마당 서쪽에는 최근에 지은 잿간채가 동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골목길에서 사랑채로 들어가는 입구가 나 있으나 문간채는 따로 보이지 않는다. 사랑채는 4칸一자형 전후퇴집인데, 겹집의 구조를 한 2고주 5량집이다.
양측면은 한가운데에 기둥을 박아 간살이를 상하로 나눌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평면은 1칸보다 조금 큰 광을 동쪽에, 다음은 부엌 · 나뭇간 · 아랫사랑 · 윗사랑 · 잠실의 순으로 평면배치가 되어 있다. 잠실은 개조된 것으로 원형은 알 수 없다.
안채는 5칸一자형 전후좌우퇴집으로, 좌우로 반 칸 통씩 늘어난 거의 겹집의 평면구성을 보이고 있다. 높직한 자연석 기단 위에 세워진 이 안채는 남도지방 특유의 간살이로 一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실배치는 동쪽으로부터 작은방 ·2칸대청 · 큰방 · 부엌의 순이다.
구조에 있어서 도리는 장여를 받친 납도리이며 면을 접었다. 보 밑에는 중도리 · 처마도리 모두 단이(보아지)를 받쳤는데 전면은 직절이고 안은 사절이다. 전면 갓보는 활꼴이고 그 끝은 고주머리에 맞추어졌다.
그러나 뒤쪽 갓보는 직선으로 교주몸에 끼웠다. 대공은 사다리꼴 판대공인데, 대청 중앙만 둥근꼴에 비낀 굽을 붙였다. 댓돌은 막돌허튼층쌓기 두벌대이며 높은 덤벙주초이고 네모기둥이다. 지붕은 팔작으로 합각면에 암키와로 물결무늬를 간결하게 넣었다. 아래채는 전퇴와 좌우퇴를 갖춘 3칸 집으로 일종의 안사랑채로 작은사랑에 해당된다. 남쪽에 아랫방 · 대청, 북쪽에 광이 배치되어 있다. 앞퇴와 우퇴에는 툇마루가 놓이며, 대청 · 광 등 모두 우물마루이다.
이 집의 특색은 별도로 세워진 뒤주[斗皮: 곳간채]로 중부지방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추수한 뒤에 벼를 저장하는 시설이다. 고상식은 같은데 하방 뺄목이 나오지 않으며 벽을 빈지보로 하지 않고 토벽으로 하여 회를 칠한 점이 다르다. 언덕을 편편하게 고른 다음 덤벙주초를 놓고 기둥을 세운 다음 마루를 깔았는데, 남쪽에 판자로 된 저장구를 달았다.
집 주위에는 감나무가 우거져 있고 집 뒤의 대나무 숲으로 이어지게 되며 드문드문 느티나무가 몇 그루 있다. 안마당이 있는 부분은 장방형이 되었고, 그 한쪽에 장독대가 있으며, 서남쪽에 있는 헛간채는 뒷간과 돼지우리가 함께 있는 우진각지붕의 집이다. 사랑채 옆으로 안마당으로 들어가는 계단이 있고, 그 계단 옆에 장독대가 하나 더 있어 일반적인 모습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