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유신리 마애여래 좌상 ( )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정면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정면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존제산(尊帝山)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寶城 柳新里 磨崖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8년 04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남 보성군 율어면 유신길 195 (유신리) / (지번)전남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산125-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존제산(尊帝山)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여래좌상.
개설

198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유신리 마애여래좌상은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존제산 북쪽 기슭의 4m가 넘는 바윗돌에 새겨진 불상이다. 독존의 여래상이며 좌측에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공양상의 흔적이 확인된다. 마애불이 새겨진 곳은 고려시대에 세워진 존제사(尊帝寺) 절터라고 전한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마모가 진행되고 있고 코와 입의 일부는 훼손되었지만 전체적인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화강암의 자연돌 그대로를 활용하여 낮게 돋을새김한 저부조의 작품이다.

내용과 특징

유신리 마애여래좌상은 설법인(說法印)의 수인에 연화좌 위에 앉아 있으며 뒷면에 불꽃과 구슬 무늬가 화려하게 장식된 광배가 있다. 어깨와 무릎이 넓어 안정적인 신체 비율을 보이며 높고 동그란 육계에 길쭉한 얼굴, 통견식 대의에 번잡하기까지한 옷주름, 낮은 팔각연화좌 등이 특징이다. 볼 살이 오른 얼굴은 머리광배를 깊게 조각하여 더욱 도드라지게 보이도록 하였고 이마가 유난히 좁고 귀는 큰 편이다. 대의는 통견식인데 옷주름이 조밀하게 층계를 이루고 어깨 위에 마치 별도의 숄을 더 착용한 것처럼 표현되어 주목된다. 호법신들이 흔히 입는 이러한 숄 형태의 옷은 여래상이 입은 사례는 없어 파격적인데, 아마도 별도의 옷을 착용한 것이 아니라 대의의 넓은 목깃이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배는 원형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의 외곽선을 따라 일정하게 구슬무늬를 돋을새김하였고 그 바깥부분의 불꽃무늬는 위를 향하여 생동감 있게 조각되었다. 팔각연화좌는 올림꽃과 내림꽃의 상대, 기둥과 구슬로 장식된 중대, 내림꽃의 하대로 구성되며 연꽃잎이 간략한 겹꽃형태로 조각되었는데, 그 끝을 미묘하게 반전하듯 표현하여 세밀함이 돋보인다.

이 마애여래좌상은 안정감 있으면서도 풍만한 신체나 조밀한 계단식 옷주름 등이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863년)으로 대표되는 통일신라 9세기 작품들과 비교된다. 그러나 광배의 연주문, 숄을 걸친 듯한 대의 목깃, 올림꽃과 내림꽃이 함께 조각된 상대, 기둥과 구슬무늬가 장식된 중대 등 매우 이례적인 표현들이 등장하고 있어 통일신라 후기 불상의 영향을 받은 고려시대 초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존명은 손모습이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 것 외의 특징은 없지만 마애불이 북서쪽을 바라보고 있어 서방 아미타불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의의와 평가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은 설법인의 수인과 장식적인 옷주름이 특징이며 특히 설법인의 수인 형식은 고려시대의 작품으로는 거의 유일한 사례이다. 어깨와 무릎이 넓어 안정감있는 비례를 보이며 저부조임에도 부드럽고 생동감 있는 섬세한 기법이 돋보인다.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넘어오는 과도기적 양식 연구에 중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마애불』(이태호·이경화, 다른세상, 2001)
집필자
정은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