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이정래 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보성 이정래 고택 전경
보성 이정래 고택 전경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정방형의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성 이정래 고택(寶城 李井來 古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84년 01월 14일 지정)
소재지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228-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정방형의 주택.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900년대를 전후하여 지어진 안채 · 문간채 · 큰광채 · 작은광채로 구성된 집이다.

배치는 거의 정방형의 대지에 남향으로 자리 잡은 안채와 곳간채(큰광채)가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좌우로 문간채와 헛간채(작은광채)가 마주보고 있다. 문간채는 한쪽에 머슴들이 기거할 수 있는 방이 있고, 그 반대편에는 외양간이 있다.

안마당은 장방형으로 동서로 길게 놓여 있다. 문간채는 一자형 3칸집 맞걸이 3량 구조로 골기와 맞배지붕이다. 안채는 7칸 ㄷ자형으로 날개가 뒤로 덧달아졌다.

전체적으로 전후좌우퇴집으로 구성되어 날개에는 안퇴 없이 바깥퇴만 두었다. 평면의 간살이는 남도방식을 따라서 서쪽으로부터 부엌 · 큰방 ·2칸대청 · 작은방 그리고 날개부분에 각각 뒷방과 작은윗방을 꾸미고 있다.

부엌의 앞은 토방을 설치하고 동남쪽 작은방 모서리에는 책광을 만들었다. 안채의 뒤란 안쪽에는 윗방에서 위 작은방까지 쪽마루를 설치하여 동선을 연결하였다. 대청과 툇마루 사이에도 출입문이 만들어졌으며, 앞툇마루 서쪽 끝에는 토방 위 벽장이 축조되었다.

구조는 2고주5량으로 납도리이고 장여를 받쳤으며 보 밑에는 단이를 끼웠다. 기둥은 네모기둥이고 높은 네모주초이다. 댓돌은 두벌대 정도로 높은데 자연석허튼층쌓기이다. 지붕은 몸채부분 양쪽에 합각을 만들어 처리하고 뒤의 날개는 박공벽으로 만들었다.

큰광채(곳간채)는 전후퇴를 가진 5칸一자형 집이다. 높이가 낮아서 안채로부터 전망을 방해하지 않는다. 5칸 모두 빈지널벽이고 서쪽 칸은 토광이며 나머지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낮은 네모주초 위에 네모기둥을 세우고 사괘맞춤으로 네모도리와 갓보를 걸었다. 지붕은 맞배기와이다. 작은광채(헛간채)는 맞걸이 3칸집으로 맞배기와지붕이다. 벽은 번지널이고 네모기둥에 맞걸이 3량구조이다. 전체적으로 남도방식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며 마을의 연못과 탱자나무 울타리가 아름다움을 더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