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900년대 초에 지은 지주(地主)의 집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안채(28평) · 사랑채(16평) · 곳간채(16평) · 헛간채(12평), 그리고 대문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낮은 배산에는 대나무 숲이 우거져 있고, 사랑채 앞마당에는 텃밭이 있다. 터는 양지바르고 반듯하다. 마당을 넓게 잡고 이웃과의 경계에 맞담을 쌓았으나 대나무 숲이 우거진 부분에는 담이 없다.
배치는 안채가 집터 뒤쪽에 동남향하여 앉고, 그 맞은편에 서쪽으로 비껴서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와 안채 서쪽에 뒤뜰이 있고, 그 서쪽에 광채가 동향하여 있다. 안채 앞에 작은 안마당이 있고, 그 맞은편에 안채와 30°비스듬하게 대문간이 있으며, 그 동쪽에는 헛간이 나란히 배치되었다.
대문은 골목을 들어서면 나타나고, 대문을 들어서면 안마당으로 안채가 바라보인다. 안채 대청과 대문간의 축이 일치하지 않는 듯이 보이나 실제로는 직선상에 놓여 있다.
안채는 ㄷ자모양인데 날개를 앞으로 내밀지 않고 뒤란을 둘러쌌다. 이것은 남해안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다른 지방에서는 그 유례가 드물다. 가로칸은 5칸 좌우퇴를 가진 겹집으로, 간살이는 서쪽으로부터 앞쪽에 도리칸 1.5칸의 부엌방이 있다.
그 뒤는 같은 크기의 부엌, 뒷날개는 같은 크기의 뒷방인데 뒤로 헛기둥이 세워져 반침이 증축되었다. 부엌 동쪽은 보간 1.5칸의 큰방, 다음이 2칸×2칸의 대청, 끝머리가 보간 1.5칸의 작은방, 뒷날개에는 1.5칸의 고방이 배치되었다.
큰방 및 작은방의 앞퇴와 작은방의 머릿퇴는 툇마루가 시설되었는데, 작은방 앞 툇마루만 약간 높게 만들어졌다. 대청은 안대청과 바깥대청으로 구분되어 사이에 분합문(分閤門)이 있다.
안채의 구조는 3평주5량 구조로 처리하고, 도리는 납도리인데 장여를 받쳤다. 보 아래에는 단이(보아지)를 받쳤으며, 전면은 직절이고 안쪽은 사절이다. 전면 기둥머리는 특별하게 주두를 얹었다. 기둥은 네모이고 민흘림이며 덤벙주초이다. 댓돌은 자연석 외벌대이고, 대공은 사다리꼴 판대공인데, 뒷날개 마감은 박공으로 처리하였다.
사랑채는 5칸 전후퇴집이며 전형적인 남도 사랑의 평면구성을 보여서 대청이 한쪽에 놓인다. 간살이는 서쪽에서부터 보간 1.5칸의 대청, 다음은 복판에 사랑윗방 · 사랑아랫방이다. 뒤퇴에는 아랫방 쪽에 골방을, 윗방 쪽은 2단으로 만들어진 반침을 시설하였다. 대청과 사랑방의 앞퇴에는 툇마루가 깔리며 대청과의 사이는 분합문으로 구획되었다. 구조는 전형적인 2고주5량이다.
광채는 전면 4칸, 측면 2칸의 겹집구조로서 가운데는 긴보5량 구조로 처리되었고, 북쪽 1칸은 따로 구분하고 나머지는 통간으로 만들었다. 바닥은 우물마루이며, 외벽은 빈지널벽이다.
대문간은 맞걸이 3칸집이며 복판은 대문간, 서쪽은 문간방, 그리고 동쪽은 헛간이다. 헛간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양통구조이다. 안마당 동쪽의 돼지우리는 구조기법이 전통적인 방법을 따른 초가 삿갓지붕으로 건축연대는 오래되지 않으나 매우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