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800년대 말에 지은 집이다. 안채(23평) · 사랑채(13평) · 곳간채(9평) · 문간채 등이 규모 있게 구성되어 있다.
남향한 반듯한 대지이며 뒤쪽 언덕에는 울창한 나무숲이 있고, 앞으로는 연못을 만들어 아름답게 꾸몄다. 비교적 넓은 평야에 인접하고 해안과 가까운 지역으로, 날씨가 따뜻하고 산세가 좋은 풍수지리적 위치에 자리 잡았다.
농사를 많이 짓고 사는 사대부집으로 규모가 큰 편이다. 문간채는 정면 5칸, 측면 단칸인데, 중앙의 한 칸은 문간으로 솟을대문이다.
대문에는 현재 상량문이 남아 있는데, 이에 의하면 1940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대문의 왼쪽과 오른쪽에는 온돌방이 여러 개 배치되어 행랑채로서 머슴이나 일꾼들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좌우에 채소밭이 있고, 밭 가운데 대나무와 감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중심부의 통로를 따라 들어가면 왼쪽으로 곳간채, 오른쪽으로 사랑채가 모퉁이를 서로 맞대고 있다. 사랑채에는 그 전면에 약간의 사랑마당을 만들고, 곳간채의 오른쪽 끝은 중문간으로서 안채로 통하는 통로가 된다.
사랑채는 동쪽에 있는 대청이 한칸반통이고, 사랑방 두 칸, 부엌 한 칸 등 모두 4칸 반이며 앞뒤퇴가 있어 측면은 두칸통이 된다. 중문간이 있는 곳간채는 두 칸의 광과 한 칸의 마루방으로 문간까지 모두 4칸이 된다.
안채는 상당히 넓은 안마당을 지나 一자형의 일반적인 평면형이나, 부엌의 위치가 특이하게 반대편에 있다. 안채는 정면이 6칸으로 왼쪽 끝과 오른쪽 끝에 각각 반칸통이 붙어 있는 형식이며, 측면은 두 칸인데 전면의 반 칸을 툇마루로 하고 있다.
동쪽 끝에 부엌이 있어 장독대가 있는 곳과는 거리가 멀지만 사랑채 · 별채 등과는 가깝게 있어 편리한 점이 많다. 부엌 옆에 안방이 있고 그 옆으로 대청이 이어지는데, 전면에 출입문을 내어 전퇴와 연결시키고 있다.
건넌방은 한 칸 크기의 방으로 측면에 있는 툇마루와의 사이에 두짝의 분합문을 달았다. 안채의 서쪽 끝에서 ㄱ자로 꺾여나간 부분에 곳간채가 있다. 정면 4칸, 측면 단칸인 광은 내부가 한방으로 트여 있다.
이 곳간채와 안채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담장이 있고 그 담장의 중앙에 협문을 내고 있는데, 이 협문을 들어서면 장독대가 있고 이어서 후원으로 돌아 들어갈 수 있다. 안채의 동편에 별채가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한 칸 반으로 방이 하나 있고 대청이 있는 우진각지붕의 집이다.
안채는 팔작지붕이며 중문간은 우진각, 사랑채는 팔작기와지붕이다. 사랑채 바로 뒷면에 작은 광이 별도로 있고, 그 뒷면에 우물이 있다. 집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의 안쪽으로 감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다. 가묘(家廟)는 따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