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필전서 ()

목차
관련 정보
보필전서 / 내정편
보필전서 / 내정편
근대사
문헌
국정의 개혁에 대하여 의견을 올린 정책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국정의 개혁에 대하여 의견을 올린 정책서.
내용

1책. 필사본. 저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집옥재인(集玉齋印)’이 있고 “관동포의지천신(關東布衣之賤臣)”이라는 표현과 전체 내용 속에 담겨 있는 사실로 미루어,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후 당시 정세에 대하여 상당한 식견을 가진 강원도의 유생이 올린 것을 모은 것으로 보인다.

내용은 내정편·외정편·군정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정편에서는 간리(奸吏)와 용관(冗官)을 물리치고 재능 있는 인사를 등용하라는 것, 주전(鑄錢)을 사용하게 하라는 것 등, 외정편에서는 문호를 개방하여 외국과 통교하고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군정편에서는 군대의 양성을 적극적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임오군란 후 민씨세도정치를 물리치고 개화로 내정을 개혁하여야 한다는 흐름을 주장한 것으로 척사파와는 다른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