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석성산성 ( )

건축
유적
문화재
6세기 전반에,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있는 사비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백제 산성. 사적.
이칭
이칭
석성(石城), 고사성(古省城), 사비남령(泗沘南嶺)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백제 사비기
관련 국가
백제, 통일신라, 조선
둘레
1차 성벽 1,605m, 2차 성벽 751m, 3차 성벽 607m
면적
1차 성벽 158,352㎡, 2차 성벽 25,400㎡, 3차 성벽 19,127㎡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군 현내리 산 104-1외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63년1월21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군 현내리 산 104-1외
내용 요약

부여 석성산성(扶餘 石城山城)은 백제 사비도성의 남동쪽 외곽 관문을 방어하기 위하여 6세기 전반에 축조된 석축 산성이다. 성벽은 3중으로 축조되었다. 1차 성벽은 가장 외곽에 위치하며 그 둘레가 1,605m이며, 2차 성벽은 중앙에 위치하며 둘레가 751m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안쪽에 위치한 3차 성벽의 둘레는 607m이다. 성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큰 규모에서 작은 규모로 축소되면서 순차적으로 사용되었다.

정의
6세기 전반에,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있는 사비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백제 산성. 사적.
위치

부여 석성산성(扶餘 石城山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에 있는 해발고도 185.5m 파진산(破陣山) 정상부에 위치한다. 이 산성은 부여 중심부에서 동남쪽으로 약 7.5km 거리에 있다.

발굴 경위 및 결과

부여 석성산성은 주1 산성인 내성과 주2 산성인 외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발굴 조사를 통해 실제로는 3중으로 축조된 성곽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외곽에 있는 1차 성벽은 3개의 산봉우리와 능선, 2개의 계곡을 포함하고 있는 포곡식 산성이다. 평면의 형태는 주8에 가깝고, 성벽의 둘레는 1,605m, 내부 면적은 158,352㎡이다. 2차 성벽은 2개의 산봉우리를 감싸고 조성된 테뫼식 산성으로 성벽의 둘레는 751m, 내부 면적은 25,400㎡이다. 3차 성벽은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2개의 산봉우리에서 9부 능선을 따라 성벽이 둘러진 형태를 띤다. 3차 성벽의 둘레는 607m, 내부 면적은 19,127㎡이다. 성내 시설물로는 문지 7개소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주9 혹은 주10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돌출부 12개소, 주11 6개소, 주12 4개소, 주13 등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는 주14 12개소가 있다.

1차 성벽은 백제 사비기에 축조된 성벽으로 급경사면에 조성되었다. 산의 지형에 따라 동남벽 전체 구간과 남쪽 모서리 부근은 주3으로 쌓았고, 나머지 구간은 주4으로 축조되었다. 성의 진입부인 남동벽 일부 구간이 발굴 조사되었는데, 그 결과 너비 약 5.2m로 주15을 쌓고 외면에 잇대어 너비 약 1.8m의 주16을 쌓은 것이 확인되었다. 내벽과 외벽의 기저부는 모두 암반까지 굴착한 후 주17으로 쌓았으며, 성벽의 외면은 잘 다듬어지지 않은 돌로 불규칙하게 주5로 축조하였다.

2차 성벽 중 남성벽의 일부가 발굴 조사되었다. 성벽의 전면은 비교적 잘 다듬은 장방형의 석재로 주6를 하였으며, 내측은 주19로 채워 쌓았고, 후면은 흙다짐으로 조성하면서 편축식으로 축조하였다. 성벽은 백제 사비기 말경에 초축된 이후 2차로 통일신라시대에 개축된 것으로 보인다. 성벽의 안쪽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지와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3차 성벽은 지형에 따라 남벽과 동벽 일부 구간은 협축으로 쌓았고, 나머지 구간은 편축으로 축조되었다. 발굴 조사는 남벽 구간에 대해 진행되었다. 성벽은 통일신라시대에 내탁식으로 축조된 초축 성벽과 조선시대에 협축식으로 개축된 것이 확인되었다. 성벽의 안쪽에서는 평면 원형의 집수지가 확인되었다. 이 집수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초축된 후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벽면이 계단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곽 배수구, 출수구 등이 함께 확인되었다. 집수지의 규모는 직경 7.5m, 잔존 깊이 3.4m이다.

석성면 현내리 마을에서 석성산성으로 가는 길은 주21가 개설되어 있다. 성벽은 추정선을 따라 잡목이 제거된 상태이다. 성벽의 동북 모서리에서 북벽을 따라 남서 모서리까지는 탐방로가 개설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부여 석성산성은 『삼국사기』에 나타난 ‘ 석성(石城)’, 고사성(古省城)‘, ’사비남령(泗沘南嶺)‘ 등으로 주22되기도 하였다.

부여 석성산성은 사비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성된 백제 사비기에 지어진 거점성으로 연산의 황산성, 노성의 노성산성, 임천의 가림성과 함께 백제 도성의 동남쪽 방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주석
주1

산 정상을 둘러쌓은 성

주2

산 정상과 계곡을 둘러쌓은 성

주3

성을 쌓을 때 내외벽을 모두 돌로 쌓는 방법

주4

성을 쌓을 때 돌로 외벽을 쌓고 안을 흙으로 채우는 방법

주5

불규칙한 돌을 사용하여 가로•세로줄눈이 일정하지 않게 쌓는 방법

주6

돌의 면 높이를 같도록 다듬어 가로줄눈을 일정하게 맞춰 쌓은 방법

주8

내각(內角)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 주로 정사각형이 아닌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9

성벽에 기어오르는 적을 쏘기 위하여 성벽 밖으로 군데군데 내밀어 쌓은 돌출부. 성벽을 앞이나 옆에서 보호하는 구조물로서, 그 위에 성가퀴를 쌓았다.

주10

적이나 주위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높이 세운 곳. 우리말샘

주11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터. 우리말샘

주12

흐르는 물 또는 빗물을 저장하는 지역. 우리말샘

주13

어떤 건물이 있던 터. 우리말샘

주14

평평한 지대. 우리말샘

주15

1차벽

주16

2차벽

주17

성을 쌓을 때,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고 안팎에서 돌을 쌓는 일. 우리말샘

주19

구조물의 기초에 쓰이는 깬돌. 1개의 중량이 10~100kg로 여러 종류가 있다. 우리말샘

주21

벌목한 통나무의 운반, 산림의 생산 관리를 위하여 건설한 도로. 우리말샘

주22

비평하여 정정(訂正)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