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도능전지 ()

북도능전지
북도능전지
조선시대사
문헌
1758년 위창조가 함경도에 산재해 있는 조선왕조 선계의 능 · 전 · 궁에 관하여 서술한 지리서. 능전궁기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58년 위창조가 함경도에 산재해 있는 조선왕조 선계의 능 · 전 · 궁에 관하여 서술한 지리서. 능전궁기록.
편찬/발간 경위

1747년(영조 23)에 위창조가 함경도의 함흥·영흥·안변·문천·덕원 등에 산재해 있는 태조 내외 팔고조(八高祖)의 능·전·궁에 대해 『북로능전지』를 편찬하였다. 그 뒤 1757년 영조의 명을 받아 새로운 사실을 추가하고 번삭을 가해 이듬해에 이 책을 간행한 것이다.

내용

8권 3책. 목활자본. 1758년(영조 34)에 호조참의(戶曹參議) 위창조(魏昌祖)가 왕명에 따라 기존의 『북로능전지(北路陵殿誌)』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함경감영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위창조가 쓴 영조의 어제서(御製序)와 17조목의 범례(凡例)와 목록이 있고, 권말에는 역시 위창조가 쓴 지(識)가 있다. 범례에서는 이 책의 작성 및 증보 원칙을 밝히고 있는데, 앞의 여섯 조목은 『북로능전지』의 범례를 그대로 따른 것이다. 대개 권4까지는 능에 관한 기록이며, 그 이후는 전과 궁에 대한 기록이다.

권1에 숙묘어제(肅廟御製), 당저어제(當宁御製), 덕릉(德陵)·안릉(安陵)·부구덕릉(附舊德陵) 신도비(神道碑), 권2에 지릉(智陵)·숙릉(淑陵) 신도비, 권3에 의릉(義陵)·순릉(純陵) 신도비, 권4에 정릉(定陵)·화릉(和陵) 신도비, 사지기비(四至記碑)가 수록되었다.

권5에 선원전(璿源殿), 권6에 경흥전(慶興殿), 권7에 본궁(本宮: 태조 이성계가 살던 함흥 집으로, 태조와 신의왕후, 태조의 부·조부·증조·고조의 위패를 모신 곳.), 권8에 본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어 당저어필별유비(當宁御筆別諭碑)·신유동반시북민어제별유(辛酉冬頒示北民御製別諭)가 실려 있다.

권1∼4에는 주로 각 능별로 그 위치와 묻힌 사람에 대한 사항을 기재한 뒤, 고실(故實)·상설(象設)·정자각(丁字閣)·홍살문[紅箭門]·비석(碑石)·사전(祀典)·재실(齋室)·능관(陵官)·제기복(祭器服)·수호군(守護軍)·죽책문(竹冊文) 등 항목별로 해당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 중 중심을 이루는 것은 고실로서, 사적·연혁·사초(史草)·수개(修改)·중건(重建) 등의 담당자 및 필요한 물품의 조달·제사·봉심(奉審) 등의 규정과 그 변화 등을 기록하였다.

권 5∼8에서는 각 전이나 궁별로 위치와 연혁을 밝힌 뒤 정전(正殿) 또는 전우(殿宇)·고실·영정봉안(影幀奉安)·의장(儀仗)·이안실(移安室)·홍살문·전사청·사전·재실·전관·제기복·수호군·옥책문(玉冊文)·궁속(宮屬) 등의 항목을 세워 기록하였다. 또한 유적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각 능·전·궁에 대한 사실의 고증을 목적으로 한 책이다. 체재는 『여지승람(輿地勝覽)』을 모방했고, 『선원보략(璿源譜略)』·『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열성지장(列聖誌狀)』 등을 참고 자료로 이용했으며, 세주(細註)로 전거를 표시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왕조 창업자의 근거지 및 태조 선계에 대한 조선 후기의 관심의 일단을 엿볼 수 있으며, 이후 함경도의 읍지 편찬에 참고 자료로 이용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북로능전지(北路陵殿誌)』
『북도능전도형(北道陵殿圖形)』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