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두칠성 ()

목차
관련 정보
북두칠성기
북두칠성기
과학기술
개념
북극 하늘에 7개의 별이 국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별자리.
목차
정의
북극 하늘에 7개의 별이 국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별자리.
내용

북두 · 북두성 · 칠성이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 민간신앙에서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예는 거의 볼 수 없으나, 북두칠성에 대한 신앙은 매우 일반적이다. 아마 그것은 불교의 주1 신앙이나 도교의 칠성신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규보(李奎報)『노무편(老巫篇)』에 나오는 칠원은 칠원성군 곧 칠성을 뜻하는 것으로, 무속에서는 적어도 고려 말에 칠성을 신으로 모셨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칠성신앙은 무속 및 민간신앙으로서 일반화되고, 그것이 불교사찰 안에서까지 모셔지게 되었다.

북두칠성은 ‘하늘의 목구멍과 혀(天之喉舌)’에 해당된다고 한 고사처럼, 하늘을 상징하고 나아가 천체 기상을 관장하는 신으로 생각되고 있다. 하늘이 인간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생각에서, 인간의 운명 · 숙명, 그리고 인간의 재수를 관장하고 농사와 관계있는 비를 내리게 하는 신으로도 생각되고 있다.

칠성신은 구체적인 어떤 주2로써 상징된다. 중부지방의 무속에서는, 무녀들이 신체로 삼고 있는 동경(銅鏡)인 주3에 칠성을 그리거나 문자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천체로서의 칠성을 명도와 결합시켜 신체화한 것이다.

때로는 칠성단이라는 단을 쌓고 그 위에 정화수를 놓아 신체로 삼기도 하는데, 그것은 물(비)의 신으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는 뱀이나 용으로 상징되기도 하고, 불교사찰이나 무녀의 신당 안에 인격신으로 그림으로 표현되어 모셔진 것이 있다.

하늘을 상징하는 뜻에서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생각되어 ‘칠성님께 명을 빈다.’는 말이 있고, 또 단명으로 태어난 아이의 운명을 북두칠성이 고쳐 주어 장수하였다는 신화가 있어 수명과 인간의 운명을 관장하는 기능을 말해 준다.

또 비를 내려 농사를 풍년들게 하는 점에서 재물의 신으로도 모셔진다. 특히 제주 지방에서는 칠성신이 뱀으로 상징되고, 집의 재물신으로도 모셔지고 있다. 이들 칠성신앙이 반드시 하늘에 있는 칠성신을 모시고 있는 것은 아닐지라도, 하늘 · 비 · 별을 추상화하고 신앙화한 것이라 생각할 수는 있다.

북두칠성은 효성스런 일곱 아들이 죽어 된 것이라고 하거나, 바리공주 무가에서는 바리공주가 낳은 일곱 아들이 죽어 하늘에 올라가 된 것이라고도 한다. 모두 죽어 별이 되었다는 것으로, 별의 인격신화를 말해 주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설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79)
『한국무속론』(최길성, 형설출판사, 1981)
주석
주1

탐랑(貪狼), 거문(巨門), 녹존(祿存), 문곡(文曲), 염정(廉貞), 무곡(武曲), 파군(破軍) 따위 일곱 개의 별. 밀교에서, 이것을 섬기면 천재지변 따위를 미리 막을 수 있다 하여 북두 만다라를 본존으로 하는 북두법이 최대 비법이었다.    우리말샘

주2

신령을 상징하는 신성한 물체.    우리말샘

주3

무당이 자신의 수호신으로 삼고 위하는 거울. 청동으로 크고 둥글게 만든 것으로, 앞면은 불룩하고 뒷면에는 해ㆍ달ㆍ별 및 그 밖의 무늬와 일월 대명두(大明斗)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