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왕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개념
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의 관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비왕은 위만조선의 관명이다. 글자 자체는 왕을 보좌한다는 의미이지만, 왕족에게 부여된 부왕적(副王的) 칭호, 특정 지역을 통치하는 제후, 군사적 임무 혹은 실무 행정 업무를 수행한 관직, 자신의 읍락을 자치적으로 이끌던 족장 등 다양하게 해석된다.

목차
정의
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의 관명.
정의

『사기(史記)』 「조선열전(朝鮮列傳)」에 따르면, 비왕은 서기전 109년에 위만조선에 왔던 한(漢)의 사신 섭하(涉何)를 전송하다가 섭하에게 살해된 장(長)이라는 인물의 관명이다. 위만조선의 관명으로서 비왕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자료는 비왕 장을 살해한 섭하가 한으로 돌아가서, 위만조선의 장(將)를 죽였다고 보고한 기록뿐이다. 이를 통해서는 비왕이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을 뿐이다.

한편, 『사기』에 따르면, 흉노에도 비왕이라는 존재가 있었는데, 「흉노열전(匈奴列傳)」을 비롯한 흉노 관련 기록 가운데, 비왕을 비소왕(裨小王), 소왕(小王), 흉노왕(匈奴王), 비장(裨將) 등과 혼용한 사례가 있다. 『사기색은(史記索隱)』은 흉노의 비왕을 소왕이라고 보면서도 대략 비장과 같다고 전한다.

위만조선 비왕의 성격에 관해서는, 비왕이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였다는 단편적인 기록과 함께, 흉노 비왕의 사례를 참고하여 크게 세 가지 해석이 있다.

첫째, '왕'이라는 단어에 유의하며 비왕을 왕의 측근 혹은 왕족에게 주어진 칭호로서 부왕(副王)으로 보는 해석이다. 이 경우 왕을 보좌하는 임무를 맡지만, 관료 조직에 속한다고 보지는 않는다. 한편, 비왕을 왕족에게 주어진 작호(爵號)로 보면서, 일정 지역을 통치하는 일종의 제후왕으로 보기도 한다.

둘째,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였다는 점에 주목하며 비왕을 왕을 정점으로 하는 관료 조직에 속하는 관직으로 보는 해석이다. 단, 비왕 직의 구체적인 직무에 관해서는 왕을 근시(近侍)하는 무관으로 보기도 하고, 문관 직인 상(相)과 무관 직인 장군(將軍) 아래에서 실질적인 행정 업무를 수행한 실무직으로 보기도 한다.

셋째, 비왕을 자신이 속한 읍락을 자치적으로 이끌던 족장으로 보는 해석이다. 자치체를 영위하던 상이 왕에 대해 그러하듯, 비왕도 상의 일정한 통제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 경우, 비왕이란 명칭을 위만조선에서 사용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본다. 소왕적(小王的) 성격의 흉노인을 한인(漢人)들이 비왕이라고 불렀듯이, 자신의 집단을 거느리고 있는 위만조선의 족장을 한인들이 비왕이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비왕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위만조선의 정치 구조와 관직 체계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비왕은 위만조선의 성격을 규정하는 관건이다.

참고문헌

원전

『사기(史記)』

단행본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서경문화사, 2014)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푸른역사, 2003)

논문

김남중,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노태돈, 「衛滿朝鮮의 정치구조- 官名 분석을 중심으로」(『汕耘史學』 8, 고려학술문화재단, 1998)
김광수, 「古朝鮮 官名의 系統的 理解」(『歷史敎育』 56, 역사교육연구회,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