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귀 ()

익재난고 / 사귀
익재난고 / 사귀
한문학
작품
고려 후기에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율시. 『익재난고(益齋亂藁)』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충선왕이 원나라에 머물 때 참소를 받고 토번에 귀양가게 되자 따라가면서 고향생각을 읊은 시이다.

내용

1·2구에서는 『논어』에서 사해가 모두 형제라고 하여 남과 잘 지내면 형제와 다름없다고 하였지만, 자신은 마치 물 위에 떠다니는 조각배와 같다고 자신의 떠돌이 신세를 한탄하였다. 3·4구에서는 이같은 심정이 바로 고향에의 그리움으로 이어져서 “기러기 소리만 들어도 고향생각에 젖는다.”고 하여, 감각적 수법으로 자신의 짙은 향수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5·6구에서는 자신의 바람과는 달리 고국과는 반대방향인 촉지방으로 향하는 안타까움을 읊었다. 배를 타고 양쯔강(揚子江)을 거슬러 올라가 청신(淸神)이라는 고을을 지나서 백제성(白帝城) 근처에 이르렀다.

그런데 백제성은 옛날 촉나라 황제가 천하통일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곳이라, 자기 임금이 겪는 수난 때문에 괴로워하는 이제현으로서는 예사로 지나칠 수 없었다. 이곳의 궁상맞은 가을비나 떨어지는 해는 시인의 참담한 마음을 더욱 고조시키는 대상인 것이다.

7·8구에서는 원나라에서 유행하는 우유식품인 양락(羊酪)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고향에서 먹던 순채국을 잊지 못한다고 하여, 순채국이 생각나서 벼슬을 버리고 돌아갔다는 군평(君平)처럼, 자신도 모든 것을 떨쳐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자신의 강렬한 소망을 담았다.

의의와 평가

이 시는 조국을 위하여 이국땅에서 분주하게 내왕하는 사이에 고국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익재난고(益齋亂藁)』
『한국문학통사』 2(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