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고는 응고(應鼓)와 더불어 건고(建鼓)에 부수된 것으로서, 궁중의 조회(朝會)와 연향(宴享)에서 사용되었다. 조선조의 기록에 의하면 삭고는 전정(殿廷) 헌가(軒架)에 위치한다.
비교적 긴 북통에 고리를 박고 나무틀에 매달아 사용하는 이 삭고는 모양은 거의 응고와 비슷하며, 크기는 응고보다 조금 크다. 또한, 삭고에는 해를 그리고 흰색을 하였고, 응고에는 달을 그리고 붉은색을 함으로써 각각 낮과 밤을 상징한 점이 다르다.
이밖에 삭고의 윗부분이 새 장식으로 되어 있는 점도 매우 독특하다. 삭고의 북면(面)은 양쪽에 있으나 그 중에서 한 면만 친다.
삭고가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예종 11년(1116) 이후의 일로 송나라에서 보내온 대성아악(大晟雅樂)에 입고(立鼓, 즉 建鼓)·응고와 함께 비고(鼙鼓)라는 명칭으로 들어 있었다. 이후 삭고는 조선조 말까지 궁중의 여러 행사에 사용되었으나, 오늘날 사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