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목활자본. 1913년 아들 영석(榮錫)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73수, 부(賦) 2편, 권3에 서(書) 49편, 권4에 잡저 9편, 권5에 서(序) 8편, 기(記) 12편, 권6에 지(識) 9편, 상량문 2편, 제축문(祭祝文) 6편, 유사 2편, 부록으로 유사·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영물(詠物)·서경(敍景)·서정(抒情)이 많다. 「촌원(村園)」·「전가사(田家詞)」·「목우사(牧牛詞)」·「이월농가즉사(二月農家卽事)」 등은 농촌의 생활을 읊은 서정시이고, 「관어(觀魚)」·「양류(楊柳)」·「산촌팔영(山村八詠)」 등은 영물·서경시이다.
서(書)는 대개 학문의 대방(大方)과 『예기』나 절문(節文) 등에 관하여 문답한 것들이다. 부(賦)의 「동도회고부(東都懷古賦)」는 경주를 찾아 역사적 감회를 읊은 것이다.
잡저 중의 「하도문답(河圖問答)」·「역상수시도변(曆象授時圖辨)」·「사중중성도변(四仲中星圖辨)」 등은 천문·역수에 관한 이론을 깊이 있게 다룬 것들이다. 그밖에 「역대전폐이병설(歷代錢幣利病說)」은 화폐의 공과를 도덕적 관점에서 논설한 것으로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