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냉이놀이

목차
민속·인류
놀이
여름철에 전라남도 진도에서 사람이 모이면 술이나 돈을 걸고 엽전 뒷면에 새겨진 숫자를 이용해 승패를 가리는 민속놀이.
목차
정의
여름철에 전라남도 진도에서 사람이 모이면 술이나 돈을 걸고 엽전 뒷면에 새겨진 숫자를 이용해 승패를 가리는 민속놀이.
내용

전라남도 진도(珍島)에 유일하게 전승되고 있다. 주로 여름에 즐기는 놀이이지만, 그 밖의 계절에도 사람이 모이면 술이나 돈을 걸고 행한다.

‘살냉이’라는 말의 어원은 기록이 없어 속단하기 어렵지만, ‘살(殺)’과 ‘내기’가 합쳐져 살+내기>살냉이가 되고, 그 뜻은 ‘서로 잡고 잡히는 내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놀이에 필요한 기구는 엽전(常平通寶) 27닢과 목침(木枕)·토시 한 개씩이다. 엽전 뒷면에는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낱낱으로 새겨져 있는데, 1부터 7까지 새긴 엽전은 각각 세 닢씩이고, 8·9·10을 새긴 엽전은 각각 두 닢씩이다. 놀이에 필요한 인원은 세 명이고,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 사람이 목침을 가운데 놓고 둘러앉으면, ‘꼬쟁이(엽전을 나누어주는 사람)’가 1·2·3을 골라 엎어놓고 각기 집도록 하여 순서를 정한다. 제일 낮은 숫자를 집은 사람부터 엽전 세 닢씩을 받은 다음, 엽전에 새겨진 숫자를 확인하고, 놀이를 시작한다.

낮은 패를 쥔 사람을 편의상 김 서방이라 하고 놀이의 예를 들면, 김 서방은 먼저 엽전 하나를 목침 위에 올려놓고, “나간다 나가신다/일벽만경(一碧萬頃) 넓은 바다·님이 가는 뱃길일세/내일 장은 무엇을 내야 잘 할 거나/펄펄 들어야 잘 한다지.” 하는 노래를 부른다. 나머지 두 사람은 ‘일벽만경’이라는 말로 그가 일자패를 내었음을 짐작한다.

이들 중에 누구든지 일자패를 가졌으면 잡을 수 있으나, 없을 경우 자기 엽전에서 맞기 어렵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토시에 집어넣어야 한다. 김 서방은 다시 다른 엽전을 목침에 놓으며, 그 숫자에 해당하는 노래를 부른다.

이 때 만약 김 서방이 낸 엽전과 같은 것을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으면, 그 사람 역시 자기의 엽전을 목침에 내놓으며 거기에 해당하는 노래를 부른다.

이렇게 되면 김 서방은 잡히고, 나머지 한 사람과 함께 엽전 한 닢을 벌금으로 내어야 한다. 이로써 첫 판을 끝내고, 세 판까지 되풀이한 뒤 그 승패를 따진다.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장원이 되고, 엽전이 먼저 떨어진 사람은 진다. 이 놀이에 불리는 노래는 1자부터 10자까지 매 글자에 해당한 것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노래 첫머리는 숫자의 첫 음과 같다.

다음에 여러 종류의 이자(二字)노래에서 그 첫머리만 소개한다. “이성지합(二姓之合)에 백복지원(百福之源)”, “이월이 둘이면 윤이월(閏二月)”, “이군불사충신(二君不事忠臣) 열녀불경이부(烈女不更二夫)”, “이군불사(二君不事) 제왕촉(齊王蠋)”, “이천리(二千里) 외고 인심”, “이월 꽃보다 붉은 단풍”, “이팔청춘(二八靑春) 좋은 때다.”, “두비탈탈 넓은 길, 님도 가고 나도 간다.”, “이놈 이놈 내 아들놈”, “두비 동천에 이한량, 과천 사공 이사공”, “이등서 북을 치니 전주 기생이 빨림한다.”, “두만강 건너서니 박자촌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편·』(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민속대관·세시풍속·전승놀이·』(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1)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