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963년 증손 수오(壽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수오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6수, 소(疏) 2편, 권2에 서(書) 14편, 잡저 10편, 권3에 뇌(誄) 1편, 서(序) 3편, 기(記) 2편, 발(跋) 3편, 상량문 2편, 고유문 1편, 제문 16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삼소재기(三素齋記)·만사·제문·유계서(儒契序)·안석고유문(安石告由文)·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차운(次韻)·증별(贈別)·만시(輓詩)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차운으로 「차김청음선생운(次金淸陰先生韻)」은 김상헌(金尙憲)의 절의를 찬양한 것이고, 증별로 「증별김계상(贈別金季常)」은 약관에 사귄 친구를 떠나보내는 애절한 심정을 읊은 것이다. 이밖에 「대암즉경(臺巖卽景)」은 산수의 승경을 묘사한 것이고, 「관의기사(觀義妓祠)」는 논개(論介)의 의열을 기린 시이다.
소(疏) 중에는 안동지방의 환곡(還穀)과 관련된 이폐(吏弊: 아전의 폐단)의 근절을 호소한 「환폐소(還弊疏)」가 있고, 서(書) 중에는 두 아들에게 일상의 생활범절을 타이른 「서일용이법시이자민수성수(書日用彝法示二子民秀成秀)」가 있는데, 특히 권농상(勸農桑)조에서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주목된다.
기(記)의 「소행일록(疏行日錄)」은 1855년(철종 6) 유성룡(柳成龍)의 승무(陞廡)를 상소하기 위하여 상경하였을 때의 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