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항안 ()

목차
근대사
문헌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외부아과 삼화항감리서 사이에 오고간 문서를 모아 엮은 관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외부아과 삼화항감리서 사이에 오고간 문서를 모아 엮은 관찬서.
내용

1책. 국한문혼용 필사본.

삼화항은 지금의 평안남도 남포로서 1897년에 개항되었고, 개항과 함께 외부아문에 소속되어 개항장의 사무를 관리하는 감리서가 설치되었다.

이 책은 외부아문과 감리서 사이에 오고간 보고·훈령 등을 구분하지 않고 날짜순으로 묶은 것으로, 개항장 및 조계문제, 감리서관리의 봉급 및 경비문제, 관세 등 각종 세금의 징수문제, 외국인사무문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1897∼1905년에 외부아문과 삼화항감리서 사이에 오고간 보고와 훈령을 구분하여 묶은 6책의 『삼화항보첩』과 함께 당시 삼화항감리서의 조직·업무와 삼화항개항장의 현황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각사등록(各司謄錄)』38, 평안도편 10(국사편찬위원회,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