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투

목차
관련 정보
긍재풍속화첩 중 성하직구(김득신 작)
긍재풍속화첩 중 성하직구(김득신 작)
의생활
개념
머리카락을 모두 올려 빗어 정수리 위에서 틀어 감아 맨 머리모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머리카락을 모두 올려 빗어 정수리 위에서 틀어 감아 맨 머리모양.
내용

혼인한 남자의 전통적인 머리모양이다. 한자어로는 ‘추계(推髻)’ 또는 ‘수계(竪髻)’라고 한다.

중국의 『사기(史記)』에 위만(衛滿)이 조선에 들어올 때 ‘추결(魋結)’을 하고 왔다는 기록과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 ‘괴두노계(魁頭露紒)’, 즉 관모를 쓰지 않는 날상투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 미루어, 상투의 역사가 매우 오램을 알 수 있으며, 그 확실한 모습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다. 벽화에 나타나는 상투의 모양은 커다랗고 둥근 것, 작고 둥근 것, 쌍상투[雙髻]가 있는데, 큰 상투는 관모를 쓰지 않은 장사도(壯士圖)나 역사상(力士像)에 많고, 작은 상투는 관모를 쓰는 귀인층에서 볼 수 있다.

신라에 있어서도 경주 금령총(金鈴塚) 출토의 도기로 만들어진 기마인물에 상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백제에서는 아직 뚜렷한 자료가 발견되고 있지는 않지만, 삼국 공통의 풍습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시대는 『고려도경』에 “왕 이하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관(冠)·건(巾)·복두(幞頭)를 썼다”는 기록과 ‘속발(束髮)’의 기록이 보인다.

이들 관모는 모두 상투 위에 쓰기에 적합한 모양이며, 속발도 상투를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78년(충렬왕 4) 왕의 명에 의하여 모든 관료층에서는 정수리부분의 머리카락만 남기고 뒤통수에서 묶어 길게 땋아 내린 몽고식 개체변발을 하였다.

그러나, 일반 백성들까지 그에 따랐다고는 볼 수 없다.

공민왕의 복구적인 중흥정책 이후에는 다시 상투를 하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초상화나 풍속화를 통하여 계층을 막론하고 상투 튼 모습을 볼 수 있다.

상투를 틀 때는 ‘백호친다’고 하여 정수리부분의 머리를 깎아내고 나머지 머리만을 빗어 올려 틀게 된다. 이는 많은 머리가 정수리에 모이게 되면 열의 발산이 어려워 견디기 힘들게 되므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투는 하나만 트는 것이 보통이지만, 머리숱이 많은 사람은 쌍상투를 하기도 하였다. 전통사회에서는 혼인한 사람과 혼인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 엄격한 차별을 두어, 어린아이라도 장가들면 상투를 틀고 성인 대접을 받았고, 나이가 많아도 혼인하지 않은 자에게는 하댓말을 썼다.

집이 가난하거나 신체적 조건의 결함 등으로 나이가 많아도 혼인하지 못한 사람은 늘 남으로부터 하댓말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면하기 위하여 이미 혼인한 것처럼 보이려고 상투를 틀었는데, 이처럼 혼인 절차를 밟지 않고 상투를 트는 것을 건상투라고 하였다. 건상투를 틀었다고 하여도 사정을 잘 아는 한 동네 사람은 여전히 하댓말로 대하였다.

그러나 다른 동네 사람이나 외지 사람은 이미 혼인한 사람으로 대우하고 하댓말로 대응하지 않았다. 상투 꼭지의 정상에는 장식을 위하여 금·은·동 등으로 만든 동곳을 꽂았고, 머리카락이 얼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이마 둘레에 망건(網巾)을 썼다.

망건 앞이마 부분에는 갓을 고정시키기 위한 풍잠(風簪)을 달고, 그 위에 여러 가지 관모를 썼다. 민(常民)의 경우는 망건 대신 수건을 동이기도 하였다.

1895년 을미개혁 때에 내린 단발령(斷髮令)에 의하여 상투머리는 금지되고, 대신 중머리·하이칼라머리가 나왔으나, 지금도 수구적인 일부 사람들의 상투 틀고 갓 쓴 모습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도경(高麗圖經)』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