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천설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조익이 『서경』의 주요 부분을 발췌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조익이 『서경』의 주요 부분을 발췌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1책. 필사본. 표지에 ‘中(중)’표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상·중·하 3권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낙질(落帙)인데다 서문과 발문 등이 없으므로 저술동기와 편차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주희(朱熹)나 제유(諸儒)의 설을 참고하여 종합한 것이기 때문에 편자의 특별한 주장이나 학설이 있는 것이 아니다.

『포저집(浦渚集)』 연보에 의하면 1655년(효종 6) 경연에 올렸다는 내용이 있어, 왕이나 세자의 시강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보다 뒤에 나온 정조의 『홍재전서(弘齋全書)』 중 경사강의(經史講義)와 상서고훈(尙書古訓) 등과 유사한 것들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