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지방 또는 관서지방 민요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민요에는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는 통속민요와 그렇지 않은 토속민요가 있다.
황해도지방의 「산염불」·「난봉가」·「몽금포타령」·「배꽃타령」 등과 평안도지방의 「수심가」·「긴아리」·「영변가」등의 민요는 사설이 길고 후렴구가 없어서 마치 잡가와 비슷한 것들이 많다. 또한 「수심가」나 「배따라기」처럼 장단이 없거나 일정하지 않게 불규칙한 장단으로 불리는 것들도 많다. 그러나 짧은 사설과 규칙적이고 고정된 장단으로 불리는 노래들도 있는데, 보통 도드리장단이 쓰이고 있다.
평안도 민요는 느리고도 애수가 깃든 감정으로 부르는 노래가 흥겨운 분위기의 노래보다 많다. 또한, 우리나라 민요의 일반적인 구성형식이 긴소리와 자진소리가 짝을 이루고 있는 두틀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처럼 평안도 민요에서도 긴소리와 자진소리가 대비되어 애수의 감정으로 느릿하게 부르고 난 다음에 흥겹고 빠른 장단으로 넘어가서 감정의 대조를 이루는 소리들도 있다.
서도민요는 다른 지방의 민요에 비해서 미묘한 장식음(시김새)을 사용하여 끙끙 앓는 듯하면서 흐느끼는 듯하고, 높이 질러냈다가 밑으로 슬슬 내려오는 하행선율진행이 많다. 그래서 기악반주와 함께 부르기보다 주로 장구 하나만으로 반주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특징을 악보로 옮기기도 어렵다.
또한, 음색이 콧소리로 얕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가 있는가 하면, 큰소리로 길게 뽑다가 갑자기 콧소리를 섞어 가며 앓는 소리와 같이 속으로 기어 들어가는 소리 등, 창법이 독특하다.
서도민요는 선율 골격에 따른 각 음의 음정관계와 떠는 음의 위치가 다르다. 남도민요는 일반적으로 떠는 음이 음계의 아래쪽에 있다가 떨면서 완전4도 상행하여 그 음은 떨지 않고 길게 뻗으며, 그 장2도 위의 음을 꺾어내고는 다시 고정 음으로 돌아와 안정감을 유지하는 데 비해서, 서도민요는 떠는 음이 음계의 위쪽에 자리를 잡고서 그 음에서부터 완전5도 하행하는 선율골격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어떤 음에서 완전4도의 윗음과 완전5도 아랫음은 한 옥타브 관계에 있는 같은 음이지만 그 기능이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서도소리는 떠는 음에서 상향진행하여 안정감 있는 음으로 진행하지 않고, 오히려 반대로 떠는 음에서 완전5도 아랫음으로 하행진행함으로써 안정감을 주게 된다.
서도소리의 구성음은 대부분 서양음악의 계명창법에 따르면 ‘레·미·솔·라·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지음은 ‘레’가 된다. 「수심가」의 경우, ‘라’에서 ‘레’로 완전4도 진행하는 것은 처음에만 한 번 나타나고, ‘레’음은 ‘미’음으로 끌어 올리는 듯한 기분을 주고, ‘라’와 ‘미’가 완전5도의 관계를 유지한다.
이렇게 끌어 올려진 ‘미’음은 격렬하게 흔든다. 그러나 그 흔들어내는 음이 남도소리의 흔드는 음과 그 방법이 약간 다르다. 그 위의 ‘솔’음은 하향할 때 밑으로 약간 퇴성(退聲)하여 ‘파’음이 나타나는데, 이 경과적으로 쓰이고 있는 반음 때문에 「수심가」가 슬프게 들린다. 전체적으로 거의 두 옥타브에 가까운 넓은 음역으로 노래하고 있는 것이 서도민요 선율의 특징이다.
그러나 같은 서도민요라고 하여도 황해도의 민요는 경기민요의 영향을 받아서 「몽금포타령」이나 「배꽃타령」과 같은 소리는 경기민요의 음악어법을 그대로 쓰고 있으며, 느린 것은 중모리장단, 빠른 것은 자진굿거리장단에 의해서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안도지방의 민요는 애끓는 듯한 처절한 소리로 불리는데, 황해도지방의 민요는 비교적 밝고 서정적이며 흥겹다. 그 밖에 많은 토속민요도 있을 것이나 국토분단으로 인하여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민요, 서도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