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적인 소리꾼이 불렀으며 민요와 선소리[立唱] · 시창(詩唱) · 잡가(雜歌) 모두를 포함한다. 서도민요는 다른 지방의 민요에 비하여 기악반주가 딸린 것이 별로 없고, 오선보로 채보된 곡도 드물다.
이것은 서도소리의 미묘한 장식음을 잘 옮기기 어렵기 때문이다. 얕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 큰 소리로 길게 뽑다가 갑자기 속소리로 가만히 떠는 창법 등이 특징이다.
음계는 몇 가지 예외가 있지만, 주로 다음 악보와 같이 완전5도 위에 단3도를 쌓아 놓은 선율구조이다. 즉, 서양음악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레 · 미 · 솔 · 라 · 도 · 레 · 미’에서 ‘레 · 라 · 도’의 3음이 중요한 음들로 ‘라 · 도’의 음정은 약간 낮은 단3도로 되어 있다. 또, ‘라’를 흔들어 주는 점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서도민요의 종류에는 평안도의 <수심가> · <엮음수심가> · <긴아리> · <자진아리(타령)> · <안주애원성> 등이 있고, 황해도의 <산염불> · <자진염불> · <긴난봉가> · <자진난봉가> · <사리원난봉가> · <병신난봉가> · <숙천난봉가> · <몽금포타령> 등이 있다.
평안도의 민요는 <수심가>가 대표적이며 사설이 길고 합창으로 되받는 소리가 없어 집단적인 노작가요의 형식과 다르다. 또, 장단도 일정하지 않고 사설에 맞추어 적당히 친다. 황해도의 민요는 <산염불>과 <긴난봉가>가 대표적이며 장단은 각각 중모리나 굿거리 같은 일정한 장단이고,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선소리는 경기선소리, 즉 산타령이 서도로 옮겨간 것으로 구성은 <놀량(놀령)> · <앞산타령> · <뒷산타령>까지는 경기선소리와 같으나, 끝마당에 <경발림(경사거리)>이 붙는 점이 좀 다르다. 기운차고 웅장하며 흥겨운 선소리의 음악적 특징은 경기선소리와 같다.
잡가로는 <적벽부 赤壁賦> · <관동팔경> · <사설공명가> · <초한가 楚漢歌> 등 여러 곡이 있다. 앉아서 부르는 좌창(座唱)으로, 서사적인 긴 노래말을 갖고 있다. 간단한 가락에 노래말을 촘촘히 엮어서 부르고, 맨 끝 구절은 <수심가> 가락을 붙여서 부른다.
노래말의 내용은 아름다운 경치와 중국의 역사를 다룬 것이 많다. 일정한 장단이 없고 3 · 4 · 5 · 6박 등이 엇갈려 나오고, 음계는 서도민요의 음계와 같다. 시창은 한없이 소리를 내뻗어 공중으로 떠다니듯이 소리를 높였다가 서서히 곱게 가다듬어서 명주실 뽑듯이 가늘게 세성(細聲)으로 끌어 눌러 놓는 듯한 목소리, 즉 연하고 고운 소리로 부르는 것이다.
서도창이 언제부터 불렸는지 연대는 상세하지 않지만, 조선시대 초기부터 관서지방 사람들의 벼슬길이 막혀 버리자 그 설움이 번져 푸념으로 읊어진 것이 바로 <수심가>라고 한다. 원망스러운 푸념이나 청승맞고 애련한 가락들은 어쩌면 눈물 많고 한숨 많았던 그 지방 사람들의 넋두리였는지도 모른다.
서도소리 중 잡가의 <관산융마 關山戎馬>와 <수심가>는 1969년 중요무형문화재(현, 중요무형유산)로 지정된 바 있고, 오복녀(吳福女)와 이은관(李殷官)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