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학 ()

목차
관련 정보
현대사
개념
인류 역사시대에서 서양 세계를 하나의 문화권으로 보고 그 문화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이자 가상의 실재인 ‘서양’의 역사를 재현하는 학문.
내용 요약

서양사학은 인류 역사시대에서 서양 세계를 하나의 문화권으로 보고 그 문화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그런데 한국 서양사학의 역사를 추적해 보면, ‘서양’이라는 실재가 ‘서양사’를 낳았다기보다는 ‘서양사’라는 학제가 ‘서양’을 상상하게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즉, 서양사학은 가상의 실재인 ‘서양’의 역사를 재현하는 학문이라 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서는 한국의 서양사학과 제국의 오리엔탈리즘, 서양사와 국사가 맺어 온 서구 중심주의의 담론적 공모 관계를 드러내고 서양사의 해체를 21세기 한국 역사학의 과제로 제시한다.

목차
정의
인류 역사시대에서 서양 세계를 하나의 문화권으로 보고 그 문화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이자 가상의 실재인 ‘서양’의 역사를 재현하는 학문.
내용
참고문헌

단행본

차하순, 『서양사학의 수용과 발전』(나남, 1988)
Dipesh Chakrabarthy, Provincializing Europe: Postcolonial Thought and Historical Difference(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Stefan Tanaka, Japan’s Orient(Univ. of California Press, 1993)

논문

임지현, 「역사가 되기의 어려움-서양사학을 넘어 역사학으로 나아가기」(『역사학보』, 228집, 2015)
임지현, 「‘국사’의 대연쇄와 오리엔탈리즘」(『한국사학사학보』, 10호, 2004)
Jie-Hyun Lim, 「A Postcolonial Reading of the Sonderweg: Marxist Historicism Revisited」(『 Journal of Modern European History』, 12:2, 2014)
Jie-Hyun Lim, 「Historicizing the World in East Asia」(Douglas Northrop ed., 『A Companion to World History』, Wiley-Blackwell, 2012)
Reinhard Zöllner, 「Die Konstruktion ‘Ostasiens’: Die Duetsche und Japanische Rolle bei Der Entdeckung eines Imaginierten Raumes」(Sebastian Lentz/Ferjan Ormaling eds., 『Die Verräumlichung des Welt-Bildes』(Franz Steiner Verlag, 2008)
Jerry Bentley, 「Myths, Wagers, and Some Moral Implications of World History」(『Journal of World History』, 16:1, 2005)
주석
주1

동양에 대한 편견 또는 선입견.    우리말샘

주2

17세기 후반 상공업 계급을 기반으로 성립한 영국 최초의 근대적 정파. 명예혁명 이후 토리당과 대립하면서 우위를 확보하고 정당 책임 내각제를 확립하였음.    우리말샘

주3

독일제국의 중심을 이룬 프로이센 공국 및 왕국이 겪었던 길.

주4

마르크스가 지은 경제학서. 유물 사관에 입각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 구조를 노동력의 상품화에 중심을 두고 설명한 책으로, 제2권과 제3권은 마르크스의 사후(死後) 그의 구상을 따라 엥겔스가 유고를 정리하여 간행하였음.    우리말샘

주5

모든 사회 현상은 역사적 생성 과정에 있으며, 가치와 진리도 역사의 발전 과정 속에 나타난다고 하는 사상.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