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 (배연신굿 및 굿)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의례·행사
문화재
서해안지역에서 해상 안전과 풍어를 기원(배연신굿)하며 마을의 안녕(대동굿)을 위해 행하는 마을굿.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무형문화재(1985년 02월 01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목차
정의
서해안지역에서 해상 안전과 풍어를 기원(배연신굿)하며 마을의 안녕(대동굿)을 위해 행하는 마을굿.
내용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서해안배연신굿은 주로 음력 정월과 2월 사이에 하는데, 선주들이 비용을 대고 배 안에서 굿이 행해진다. 굿의 진행은 맨 처음 신청울림으로 시작하여 당산맞이, 초부정 · 초감응거리, 영정물림, 소당제석거리, 먼산장군거리, 대감거리, 영산할맘 · 할아밤거리, 쑹거주는 굿, 다릿발 용신굿, 강변굿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서해안대동굿은 음력 정월이나 2월에 매년 또는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황해도 해안에서는 당신(堂神)으로 ‘서낭’과 ‘임경업장군신’을 모신다. 바닷가에 굿청을 차리고 당산맞이로부터 굿을 시작하는데, 마을의 당에서 당신을 맞아 강림시킨 다음, 무당은 뚝대를 든 상소염을 앞세우고 마을을 돌면서 집집마다 축원을 해주는 세경돌기를 하고 이어서 무당일행이 굿청으로 들어설 때 ‘문잡아들음굿’을 한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본격적이 굿이 시작된다. 굿의 진행은 초부정 · 초감응굿, 제석굿, 대감굿, 성수굿, 사냥굿, 타살군웅굿, 서낭굿, 조상굿의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굿이 끝나 물이 들어오는 시간이면 당신을 다시 뱃기에 내려 배로 모셔가는 ‘뱃기내림’을 하고 마당굿을 마지막으로 굿을 마친다.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 풍어제의 하나로 지정되었고, 기예능보유자로는 김금화(金錦花 : 巫女) · 최음전(崔音全 : 樂士) · 안승삼(安承三 : 배치기노래 · 장식)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인의 굿과 무당』(황루시, 문음사, 1988)
『관서지방무가(關西地方巫歌)』(임석재·장주근, 문화재관리국, 1966)
「화수부두에 펼쳐진 큰 잔치-황해 대동굿 재현의 현장-」(황루시, 『마당』 25, 1983.9.)
「서해안대동굿」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황루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