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 (배연신굿 및 굿)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의례·행사
문화재
서해안지역에서 해상 안전과 풍어를 기원(배연신굿)하며 마을의 안녕(대동굿)을 위해 행하는 마을굿.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西海岸배연신굿 및 大同굿)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유산청 국가무형유산(1985년 02월 01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해안지역에서 해상 안전과 풍어를 기원(배연신굿)하며 마을의 안녕(대동굿)을 위해 행하는 마을굿.
내용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현, 중요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서해안배연신굿은 주로 음력 정월과 2월 사이에 하는데, 선주들이 비용을 대고 배 안에서 굿이 행해진다. 굿의 진행은 맨 처음 신청울림으로 시작하여 당산맞이, 초부정 · 초감응거리, 영정물림, 소당제석거리, 먼산장군거리, 대감거리, 영산할맘 · 할아밤거리, 쑹거주는 굿, 다릿발 용신굿, 강변굿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서해안대동굿은 음력 정월이나 2월에 매년 또는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황해도 해안에서는 당신(堂神)으로 ‘서낭’과 ‘임경업장군신’을 모신다. 바닷가에 굿청을 차리고 당산맞이로부터 굿을 시작하는데, 마을의 당에서 당신을 맞아 강림시킨 다음, 무당은 뚝대를 든 상소염을 앞세우고 마을을 돌면서 집집마다 축원을 해주는 세경돌기를 하고 이어서 무당일행이 굿청으로 들어설 때 ‘문잡아들음굿’을 한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본격적이 굿이 시작된다. 굿의 진행은 초부정 · 초감응굿, 제석굿, 대감굿, 성수굿, 사냥굿, 타살군웅굿, 서낭굿, 조상굿의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굿이 끝나 물이 들어오는 시간이면 당신을 다시 뱃기에 내려 배로 모셔가는 ‘뱃기내림’을 하고 마당굿을 마지막으로 굿을 마친다.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 풍어제의 하나로 지정되었고, 기예능보유자로는 김금화(金錦花 : 巫女) · 최음전(崔音全 : 樂士) · 안승삼(安承三 : 배치기노래 · 장식)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인의 굿과 무당』(황루시, 문음사, 1988)
『관서지방무가(關西地方巫歌)』(임석재·장주근, 문화재관리국, 1966)
「화수부두에 펼쳐진 큰 잔치-황해 대동굿 재현의 현장-」(황루시, 『마당』 25, 1983.9.)
「서해안대동굿」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황루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