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선본사 ( )

불교
유적
통일신라 때, 팔공산 관봉 아래 세운 사찰.
유적/건물
건립 시기
삼국/ 통일신라
소재지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699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선본사는 팔공산 관봉 아래 세워진 통일신라 때 사찰이다. 496년(소지왕 18)에 극달 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나 신라의 불교 공인 연대인 528년보다 30여 년이 앞서기 때문에 믿기 어렵다. 선본사 삼층석탑, 갓바위 부처와 관련하여 통일신라 때 세워진 사찰로 추정된다. 갓바위 부처는 원광의 제자 의현이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해 638년(선덕여왕 7)에 조성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조선 인조 때 수총대사가 중창하였다. 현재 대웅전, 극락보전, 산신각, 요사채 등의 건물이 있다. 문화유산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인 선본사 신중탱화가 있다.

정의
통일신라 때, 팔공산 관봉 아래 세운 사찰.
건립 경위

『태고사사법』에 따르면, 선본사(禪本寺)는 496년(소지왕 18)에 극달(極達) 화상이 처음 창건했다고 하지만 믿기 어렵다. 신라의 불교 공인 연대인 528년보다 30여 년이 앞서기 때문이다. 선본사 삼층석탑의 제작 시기가 8~9세기이므로 선본사도 이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갓바위 부처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 여래 좌상(慶山 八公山 冠峰 石造 如來 坐像))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세워졌다고 하나 갓바위 또한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조선시대인 1641년(인조 19), 수총(秀聰) 대사가 크게 중창하였다(重創).

형태와 특징

선본사 삼층석탑은 선본사 중심에서 남서쪽으로 약 150m 지점 산허리에 위치한다. 삼층석탑이 선본사의 삼층석탑으로 세워졌는지 아니면 독립적으로 세워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재 대웅전(大雄殿), 극락보전, 산신각(山神閣), 요사채(寮舍채) 등의 건물이 있다. 문화유산으로 경상북도 유형 문화유산인 선본사 신중탱화가 있다. 갓바위 부처는 원광(圓光)의 제자 의현이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해 638년(선덕여왕 7)에 조성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갓바위 부처는 1965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태고사사법』 (1941)
이정, 『한국불교사찰사전』 (불교시대사, 1996)

논문

신용철, 「팔공산 선본사 3층석탑연구」, (『민족문화논총』 53,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