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 ()

불교
인물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 때, 화랑도에게 세속오계의 가르침을 주고 걸사표 등의 외교 문서를 작성한 고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550년(진흥왕 11) 추정
사망 연도
미상
주요 저서
대방등여래장경, 여래장경사기, 여래□경기
내용 요약

원광(圓光)은 575년경 진에 유학을 가서 출가하고 수의 장안에서 수학한 후 600년(진평왕22)에 귀국한 신라의 고승이다. 교학에 밝았던 그는 귀국 후 『성실론』, 『섭대승론』 등을 강의하였으며, 가슬갑사에 머물며 점찰법회를 주관하였다. 가르침을 구하러 온 화랑 귀산과 추항에게 세속오계를 주기도 하였다. 진평왕의 요청으로 걸사표 등 외교 문서를 도맡아 작성하였고, 국왕이 주최한 백고좌법회 때 상수의 역할을 맡았다.

정의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 때, 화랑도에게 세속오계의 가르침을 주고 걸사표 등의 외교 문서를 작성한 고승.
개설

원광(圓光)의 성은 박(朴)씨나 설(薛)씨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하게 알 수 없다. 550년(진흥왕 11)경에 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활동

원광은 진흥왕 36년(575)경 25세의 나이에 진(陳)의 주1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는 금릉에서 승민(僧旻)의 제자에게 강론을 듣고 불교주2. 진(陳)나라와 수(隋)나라에서 유학하고 600년(진평왕22)에 신라로 귀국하였다. 원광 이후 중국으로 유학가는 이들이 줄을 지었다. 귀국 후 원광은 가슬갑사에 머물렀다. 그는 자신을 찾아온 귀산추항에게 주3, 주4, 주5, 주6, 주7세속오계(世俗五戒)를 주었다. 당시 귀산과 추항은 주8의 신분이었다고 보고 있어 원광이 내린 세속오계를 화랑도의 정신으로 해석한다.

원광은 가슬갑사에서 지방민을 대상으로 점찰법회(占察法會)을 열었다. 점찰법회란 나무패를 이용하여 개인의 전생 주9을 알아봄으로써 현재의 주10을 점치고 그 결과에 따라 참회를 행하는 의식이다. 점찰법회를 통해 원광은 개개인에게 현재와 내세의 안락을 기원해 주고, 이미 죽은 자들을 주14 내세에는 좋은 곳에서 태어나기를 기원해 주었다.

608년(진평왕 30) 진평왕은 원광에게 수나라에 군대를 청하는 표문을 짓게 하였다. 원광은 공식 외교 문서를 도맡아서 작성하였다. 613년(진평왕 35)에 수의 사신 왕세의(王世儀)가 왔을 때 황룡사(皇龍寺)에서 인왕백고좌(仁王百高座) 법회가 개최되었는데, 원광은 이 법회에 상수(上首)로 참여하였다. 원광은 노년에 수레를 타고 궁궐에 출입하였고, 진평왕은 원광에게 손수 옷, 약, 음식을 모두 마련해 줄 정도로 그를 존중하였다.

학문과 저술

원광은 진에서 유학하면서 『성실론』, 『열반경』을 터득하였고, 수론(數論) 등을 두루 찾아 읽었다. 또한 오군(吳郡)의 호구산(虎丘山)에 들어가 수행에 매진하였다. 589년(진평왕 11)에는 수의 장안으로 가서 주11을 공부하였고, 그에 대한 명확한 해석으로 장안의 명성을 얻었다. 일본의 목록집에는 원광이 주12, 주13를 저술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원광은 매년 두 번씩 강의하며 후학들을 길러냈다. 그의 제자로 원안(圓安)이 있다. 훗날 그의 부도가 삼기산 금곡사에 세워졌는데, 후속이 끊어지지 않기를 기원하며 원광의 무덤 옆에 아이의 태를 묻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속고승전(續高僧傳)』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논문

곽승훈, 「『해동고승전』 원광전의 찬술과 사학사」(『한국사학사학보』 31, 2015)
박광연, 「원광의 점찰법회 시행과 그 의미」(『역사와 현실』 43, 2002)
최연식, 「원광의 생애와 사상-『삼국유사』 「원광전」의 분석을 중심으로-」(『태동고전연구』 12, 1995)
주석
주1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있었던 초나라의 읍. 지금의 난징(南京)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2

돌아가거나 돌아와 몸을 의지하다. 우리말샘

주3

세속 오계의 하나.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긴다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4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5

세속 오계의 하나. 벗을 사귐에 믿음으로써 함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세속 오계의 하나. 전쟁에 나아가서 물러서지 않음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7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8

신라 때에 둔 화랑의 무리. 우리말샘

주9

오래전부터 이루고자 했던 사업. 우리말샘

주10

좋은 일과 나쁜 일, 불행한 일과 행복한 일. 우리말샘

주11

4세기 무렵에 인도의 아상가(Asaga)가 대승 불교를 통일하기 위하여 지은 불서(佛書). 10가지 의리로써 대승(大乘)의 입장을 설명한 유식론적 서적으로 유식의 사상이 완전히 조직되었다. 우리말샘

주12

『동역전등목록』

주13

『대소승경율논소기목록』

주14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려고 착한 일을 하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