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공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신라, 노비 출신의 승려로 신통력이 있었고 승조의 후신으로 불림.
이칭
아호
우조(憂助)
별명
부궤화상(負簣和尙)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내용 요약

혜공은 불교 대중화에 앞장선 7세기 신라의 승려이다. 천진공 집에서 일하던 노파의 아들이었는데, 출가 후 신통력이 있었고, 원효가 모르는 게 있으면 찾아갈 정도로 교학에도 밝았다. 특히 『조론』에 대한 이해가 뛰어나, 승조의 후신으로 불렸다고 한다. 9세기 흥륜사 금당에 모신 십성 가운데 한 명이다.

목차
정의
신라, 노비 출신의 승려로 신통력이 있었고 승조의 후신으로 불림.
내용

혜공(惠空)은 천진공(天眞公)의 집에서 일하던 노파의 아들로, 어렸을 때 이름은 우조(憂助)이다. 어려서 신이한 능력이 드러나 출가하였다. 『삼국유사』에 몇 가지 주1가 전한다. 천진공이 종기가 나서 돌아가시려 하였는데, 일곱 살의 그가 병상 아래 앉자 종기가 터져 병이 나았다. 또 천진공이 동생에게 빌려준 매을 보고 싶어한다는 것을 미리 알고서 밤사이 매를 찾아온 일도 있었다.

혜공은 출가 후 작은 주2에 머무르며 주3를 지고 취하여 다니면서 노래하고 춤을 추었으므로 사람들이 부궤화상(負簣和尙)이라 불렀고, 그의 암자를 부개사(夫蓋寺)라 불렀다. 이는 무애박을 만들고 무애가를 지어 주4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무리들을 교화한 행동과 상통한다. 7세기 왕경에서 교화 활동을 펼친 혜공, 혜숙, 원효 같은 이들을 불교 대중화에 앞장선 민중 교화승이라 부르기도 한다.

혜공의 신이는 출가 후에도 계속되었다. 우물 속에 들어가 몇 달씩 나오지 않았고, 나올 때는 벽의동자(碧衣童子)가 먼저 나왔으며, 우물에서 나와도 옷이 조금도 젖지 않았다고 한다. 또 하루는 새끼줄을 가지고 영묘사(靈廟寺)에 가서 금당(金堂)과 좌우의 주5, 남문 행랑 등에 둘러 치고 3일 후에 풀라고 하였다. 3일 만에 선덕왕이 절에 주8였을 때 귀신이 절을 태웠으나, 그가 새끼로 맨 곳은 타지 않았다고 한다.

만년에는 영일군 항사사(恒沙寺)에 있었는데 원효(元曉)가 경소(經疏)를 지을 때 의심나는 것은 그에게 와서 묻고 서로 농을 하였다. 혜공과 원효가 이 절의 앞 개울에서 고기를 잡아먹고 똥을 누자, 똥이 고기로 변하여 한 마리는 물결을 거슬러서 위로 올라가고 한 마리는 아래로 내려갔다. 위로 올라가는 고기를 서로 자기가 잡았던 물고기라고 희롱하였는데,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고기가 진리를 찾아 나아가는 수행자를 상징하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후 그 절 이름을 오어사(吾魚寺)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

평생 신이한 기적을 매우 많이 남겼으며, 죽을 때에도 공중에 떠서 입적하였다. 일찍이 『조론(肇論)』을 보고 전생에 자신이 찬한 것이라고 하여, 사람들이 그를 주9 승조(384-414?)의 후신이라 여겼다고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김영미, 『신라불교사상사연구』(민족사, 1994)

논문

남동신, 『원효의 대중교화와 사상체계』(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새롭고도 이상함. 우리말샘

주2

큰 절에 딸린 작은 절. 우리말샘

주3

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담아 나르는 데 쓰는 기구. 가는 싸리나 대오리, 칡, 짚, 새끼 따위로 만드는데 앞은 벌어지고 뒤는 우긋하며 좌우 양편은 울이 지게 엮어서 만든다. 우리말샘

주4

수많은 촌락. 우리말샘

주5

불경을 보관해 두는 누각. 우리말샘

주8

임금이 나들이하다. 우리말샘

주9

중국의 오호 십육국 가운데, 384년에 강족(羌族)의 추장 요장(姚萇)이 장안(長安)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417년에 동진(東晉)의 장군 유유(劉裕)에게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