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교요리문답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문헌
1864년에 간행된 조선 천주교회의 공식 교리서.
문헌/고서
간행 시기
1864년
권책수
1권
판본
목판본
표제
성교요리문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성교요리문답』은 1864년에 간행된 조선 천주교회의 공식 교리서이다. 천주교의 주요 교리를 문답식(問答式)으로 정리한 책으로, 다블뤼(Daveluy, 安敦伊)의 책임하에 중국의 한문 원서를 한글로 번역하여 1864년에 목판으로 간행되었고, 1934년까지 공식 교리서로 활용되었다.

목차
정의
1864년에 간행된 조선 천주교회의 공식 교리서.
간행

『성교요리문답』은 중국의 교리서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기존에는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이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돌리에르(d'Ollières, 方守義) 신부의 『성사요리(聖事要理)』 혹은 그 중간본으로 간행된 『성교요리문답(聖敎要理問答)』을 번역한 책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 결과,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은 중국에서 1844년에 간행된 한문본 『성교요리문답』을 중심적인 저본으로 하면서 『영세문답(領洗問答)』 등의 여러 문헌도 참고하여 만들어졌음이 규명되었다.

지금까지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이 목판으로 간행된 연도가 1864년이라고 알려졌지만, 제4대 조선대목구장 주교 베르뇌(Berneux, 張敬一), 다블뤼의 문서를 근거로 1861년에 간행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내용

한글 목판본 『성교요리문답』은 한문 원서에 있는 요리육단(要理六端), 상등회경(上等悔經), 성교요경(聖敎要經)이 없는데, 사본요리(四本要理)라는 별명이 있듯이 영세 · 고해 · 성체 · 견진의 네 가지 근본 교리를 충실히 번역한 책이다. 조목은 영세가 70개, 고해가 37개, 주1가 24개, 주2이 23개로, 모두 합쳐 154개이다. 한글 목판본의 조목은 한문 원서보다 1개가 더 많은데, 견진문답에 1개의 조목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한글 목판본 『성교요리문답』에는 한문 원서에는 없는 총 31개의 용어 설명이 추가되었다.

영세문답에서는 천주의 존재, 삼위일체(三位一體), 예수의 주3과 부활(復活), 주4주5, 성교회(聖敎會)의 도리 등이 설명되어 있다. 고해문답에는 고해의 법도, 성찰의 방법, 주6주7, 주8주9, 주10 등의 설명이 있다. 성체문답에서는 성체와 미사의 정의, 영성체의 이익과 예비(預備) 등을 다루고 있다. 견진문답에서는 주11, 견진의 일곱 가지 은혜, 견진 대부(代父) · 대모(代母), 견진 후의 본분 등이 설명되어 있다.

의의

『성교요리문답』은 서울의 목판 인쇄소에서 단권 초판이 간행된 후, 활판으로 순한글 또는 국한문 혼용으로 중간되었다. 『성교요리문답』은 1934년에 『천주교 요리문답』이 간행될 때까지 공식 교리서로서 신자들의 교리 교육에 도움을 주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가톨릭대사전』 7 (한국교회사연구소, 1999)

논문

양인성, 「천주교 교리서 『셩교요리문답』 목판본 연구」 (『교회사학』 23, 수원교회사연구소, 2023)
이석원, 「19세기 서울지역 천주교회 목판인쇄소 운영과 서적 유통」 (『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 서울역사편찬원, 2021)
조현범,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의 한문 저본 연구」 (『교회사학』 19,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주석
주1

예수의 몸. 우리말샘

주2

성세 성사를 받은 신자에게 성령과 그 선물을 주어 신앙을 성숙하게 하는 성사. 우리말샘

주3

신이 인간으로 태어남. 우리말샘

주4

개개인이 죽은 후에 따로따로 받는 심판. 우리말샘

주5

일반인들의 방청을 허용하는 재판. 법원의 절차를 국민의 감시하에 둠으로써 법의 공정한 운용을 보장한다. 우리말샘

주6

마땅히 사랑해야 할 하느님께 순종하지 않은 일을 슬퍼하는 태도. 참회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다. 우리말샘

주7

통회의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지 아니하고 죄를 지은 결과로 자기에게 해가 미치기 때문에 뉘우치는 태도. 우리말샘

주8

다시 죄를 짓지 아니하기로 결심하는 일. 고해 성사의 다섯 요건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9

‘고백’의 전 용어. 우리말샘

주10

죄로 인한 나쁜 결과를 보상하는 일. 우리말샘

주11

견진 성사를 받을 신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