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 ()

목차
관련 정보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과학기술
개념
지상에서 관측한 천체들의 위치를 평면인 지상이나 석판 위에 나타낸 별과 별자리의 그림. 천문도.
이칭
이칭
천문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지상에서 관측한 천체들의 위치를 평면인 지상이나 석판 위에 나타낸 별과 별자리의 그림. 천문도.
내용

천문도(天文圖)라고도 한다. 천체의 위치는 천구면에 좌표계(座標系)를 설치하고, 황도(黃道)와 적도, 12궁(宮)으로 방위를 정하여 결정한다.

성도에는 시대와 제작자에 따라 작품마다 고유한 이름이 붙어 있었는데, 예를 들어 고구려의 것은 단순히 <석각천문도>라고 불리었으나, 1395년(태조 4)에 제작된 석각천문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이 이름은 1687년(숙종 13)에 다시 새롭게 만든 석각천문도와, 숙종 때의 석각천문도와 꼭 같은 것을 목판으로 인쇄하여 1770년(영조 46)에 만든 천문도에 붙어 있다. 그런데 민간에서 제작하였거나, 위의 것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이름이 없어진 것이 많이 있으나, 조선시대의 관제로 전통적인 천문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였던 것 같다.

17세기 말에 서양의 천문도가 명나라와 한나라를 거쳐 우리 나라에 들어오게 되면서부터는 서양식이 가미된 새로운 천문도가 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그 이름도 다양하게 되었다.

그 중 두드러진 예에 속하는 것은 1742년(영조 18)에 제작된 법주사소장의 8곡 병풍식 천문도의 이름으로 <신법천문도 新法天文圖>라고 하였고, 그 밖에 18세기제의 <혼천전도 渾天全圖>, 1807년제의 <황도중국합도 黃道中局合圖> 등 여러 가지 이름의 관제 천문도가 인쇄, 보급되었다.

전통적인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와 17세기 말부터 서양천문학의 영향을 받은 천문도 사이의 큰 차이점은, 첫째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북극을 중심으로 북천(北天)의 별들과 적도 이남의 별이라 하더라도 한양(지금의 서울)에서 볼 수 있는 별들(대체로 적위가 -50도 이북)만이 기입되어 있다.

그렇지만 17세기 말 이후의 천문도에는 남극과 그 주위에 있는 별들도 함께 기입되어 있는 점이며, 둘째 천구의 전면, 즉 남북 전천(全天)의 별들을 포함하고 있는 천문도에 수록되어 있는 별 수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 수인 1,464보다 훨씬 더 많다.

따라서 17세기까지에는 없었던 남천(南天)의 별들로 새로운 성수가 제정되어 이미 있었던 성수에 첨가되었다. 이 밖에도 성수와 궁별(宮別)로 분리되어 그에 속하는 별들의 위치까지 표시된 성표(星表)를 곁들인 것이 있는데, 조선시대까지 가장 많이 사용된 ≪보천가 步天歌≫와 우리 나라에서는 가장 마지막에 출판된 남병길(南秉吉)의 ≪성경 星鏡≫(기산점은 1861년)이 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增補文獻備考 象緯考 )』권일∼삼
『성경(星鏡)』(남병길)
The Celestial Planisphere of King YiTai―Jo(W.C.Rufus,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4, pp.23∼72, 1913)
집필자
나일성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