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도(天文圖)라고도 한다. 천체의 위치는 천구면에 좌표계(座標系)를 설치하고, 황도(黃道)와 적도, 12궁(宮)으로 방위를 정하여 결정한다.
성도에는 시대와 제작자에 따라 작품마다 고유한 이름이 붙어 있었는데, 예를 들어 고구려의 것은 단순히 <석각천문도>라고 불리었으나, 1395년(태조 4)에 제작된 석각천문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이 이름은 1687년(숙종 13)에 다시 새롭게 만든 석각천문도와, 숙종 때의 석각천문도와 꼭 같은 것을 목판으로 인쇄하여 1770년(영조 46)에 만든 천문도에 붙어 있다. 그런데 민간에서 제작하였거나, 위의 것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이름이 없어진 것이 많이 있으나, 조선시대의 관제로 전통적인 천문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였던 것 같다.
17세기 말에 서양의 천문도가 명나라와 한나라를 거쳐 우리 나라에 들어오게 되면서부터는 서양식이 가미된 새로운 천문도가 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그 이름도 다양하게 되었다.
그 중 두드러진 예에 속하는 것은 1742년(영조 18)에 제작된 법주사소장의 8곡 병풍식 천문도의 이름으로 <신법천문도 新法天文圖>라고 하였고, 그 밖에 18세기제의 <혼천전도 渾天全圖>, 1807년제의 <황도중국합도 黃道中局合圖> 등 여러 가지 이름의 관제 천문도가 인쇄, 보급되었다.
전통적인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와 17세기 말부터 서양천문학의 영향을 받은 천문도 사이의 큰 차이점은, 첫째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북극을 중심으로 북천(北天)의 별들과 적도 이남의 별이라 하더라도 한양(지금의 서울)에서 볼 수 있는 별들(대체로 적위가 -50도 이북)만이 기입되어 있다.
그렇지만 17세기 말 이후의 천문도에는 남극과 그 주위에 있는 별들도 함께 기입되어 있는 점이며, 둘째 천구의 전면, 즉 남북 전천(全天)의 별들을 포함하고 있는 천문도에 수록되어 있는 별 수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 수인 1,464보다 훨씬 더 많다.
따라서 17세기까지에는 없었던 남천(南天)의 별들로 새로운 성수가 제정되어 이미 있었던 성수에 첨가되었다. 이 밖에도 성수와 궁별(宮別)로 분리되어 그에 속하는 별들의 위치까지 표시된 성표(星表)를 곁들인 것이 있는데, 조선시대까지 가장 많이 사용된 ≪보천가 步天歌≫와 우리 나라에서는 가장 마지막에 출판된 남병길(南秉吉)의 ≪성경 星鏡≫(기산점은 1861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