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팔수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하늘의 적도를 따라 남북에 있는 별들을 28개로 구획으로 구분한 별자리.
내용 요약

이십팔수는 하늘의 적도를 따라 남북에 있는 별들을 28개로 구획으로 구분한 별자리이다. 각 구역에는 여러 개의 별자리들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을 그 구역에 있는 수(宿)라고 정하였다. 이러한 수는 전부 28개가 되므로 통칭 28수라고 부른다. 편의상 7개씩 묶어서 4개의 7사(舍)로 구별하여 각각 동·서·남·북을 상징하도록 하였다.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달이 주는 영향이 너무 크기 때문에 달의 운동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28개의 각 수의 1개의 대표적인 별을 수거성이라고 한다.

목차
정의
하늘의 적도를 따라 남북에 있는 별들을 28개로 구획으로 구분한 별자리.
내용

각 구역에는 여러 개의 별자리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을 그 구역에 있는 수(宿)라고 정하였다. 이러한 수는 전부 28개가 되므로 통칭 28수라고 부른다.

28수는 편의상 7개씩 묶어서 4개의 7사(舍)로 구별하여 각각 동 · 서 · 남 · 북을 상징하도록 하였는데, 이 4개의 7사에 속하는 별은 다음과 같다.

① 동방 7사:28수 중 춘분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주1를 필두로 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차례로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올라오는 항(亢) · 저(氐) · 방(房) · 심(心) · 미(尾) · 기(箕) 등 7개의 수가 차지하는 성수(星宿)들을 말한다.

② 북방 7사:28수 중 하짓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주2를 필두로 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차례로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올라오는 우(牛) · 여(女) · 허(虛) · 위(危) · 실(室) · 벽(壁) 등 7개의 수가 차지하는 성수들을 말한다.

③ 서방 7사:28수 중 추분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주3를 필두로 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차례로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올라오는 루(婁) · 위(胃) · 묘(昴) · 필(畢) · 자(觜) · 삼(參) 등 7개의 수가 차지하는 성수들을 말한다.

④ 남방 7사:28수 중 동짓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주4를 필두로 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차례로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올라오는 귀(鬼) · 유(柳) · 성(星) · 장(張) · 익(翼) · 진(軫) 등 7개의 수가 차지하는 성수들을 말한다.

이 28수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며, 왜 여러 가지 숫자 중에서 28이라는 숫자를 택했을까에 대한 의문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1년의 12개월과도 다르고, 24절기와도 맞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에서는 아마도 달이 주는 영향이 너무 크기 때문에 달의 운동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하기도 하는데, 어느 정도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달이 운행하는 하늘인 주5주6와는 약간 다르지만 거의 같은 하늘이라는 점과, 달이 백도를 따라 일주하는 데 약 27.32일의 항성주기(恒星週期)를 가지고 있어 28이라는 숫자에 가깝기 때문이다. 28수를 달의 운동과 연관지어 생각한다면 달이 머무는[宿] 하늘이 바로 그 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에나 지금이나 월령(月令)과 달이 위치한 수가 무엇인가를 가지고 점을 치고 있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수긍이 갈 만하다. 28개의 각 수에는 1개의 대표적인 별을 정해 놓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별을 수거성(宿距星)이라고 한다. 인접한 두 수거성 사이의 거리인 이각(離角)을 수도(宿度)라고 하며, 그 이각은 수마다 서로 같지 않다.

이것으로 28수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만든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수 안에 속한 다른 별들과 수거성과의 거리는 입수도(入宿度)라 하고 각도로 표시한다. 남병길(南秉吉)이 지은 『성경(星鏡)』이 간행된 1861년을 기준으로 한 28수표는 28수가 각각 하늘을 점유하고 있는 크기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수마다 소속된 별의 숫자 또한 서로 다르다.

가장 작은 수는 단 2개의 별로 된 각 · 허실 · 벽의 4개가 있는가 하면, 가장 큰 수는 전부 22개의 별들로 구성된 익이다([표] 참조). 이 28개의 수들 중에는 서양의 별자리와 그 모양이 일치하는 것은 하나도 없으나, [그림]과 같이 1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는 삼과 3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는 자를 합치면 서양의 오리온자리와 그 구성이 묘하게 잘 맞는다.

[표] 二十八宿

宿 入宿度 距極度 宿 入宿度 距極度
동방 19°30′02″ 126°26′40″ 북방 14°28′39″ 75°32′11″
21°56′20″ 89°54′03″ 14°16′46″ 62°40′01″
동방 1°24′15″ 99°38′27″ 북방 1°32′47″ 75°35′08″
2°12′58″ 95°19′19″ 0°19′06″ 61°40′43″
5°18′15″ 91°36′52″ 서방 12°31′52″ 67°17′31″
2°56′06″ 102°44′21″ 10°03′07″ 66°28′32″
동방 10°50′52″ 105°27′43″ 10°38′20″ 63°01′50″
16°07′18″ 109°16′01″ 7°50′45″ 61°25′20″
21°58′20″ 104°19′38″ 7°59′57″ 59°53′15″
17°25′21″ 98°52′27″ 7°22′38″ 57°01′57″
동방 27°39′10″ 115°42′53″ 10°33′47″ 49°39′27″
27°06′02″ 118°48′24″ 12°15′44″ 52°14′14″
28°04′45″ 112°13′39″ 15°29′44″ 55°06′14″
29°23′17″ 109°25′32″ 14°41′20″ 58°32′43″
동방 3°14′08″ 115°15′5″ 十一 16°02′07″ 60°39′16″
5°15′02″ 116°07′11″ 十二 18°22′49″ 61°58′34″
6°50′28″ 117°55′22″ 十三 17°58′22″ 63°27′31″
동방 10°31′59″ 127°49′56″ 十四 16°36′06″ 66°08′09″
10°21′30″ 124°01′26″ 十五 16°01′38″ 69°41′33″
11°06′54″ 132°08′21″ 十六 14°38′15″ 69°14′29″
15°31′36″ 133°04′03″ 서방 26°45′29″ 69°51′53″
21°49′08″ 132°55′43″ 26°29′37″ 71°22′38″
24°27′07″ 130°05′31″ 29°51′00″ 67°11′07″
23°12′42″ 128°57′50″ 서방 8°50′18″ 62°52′44″
21°04′07″ 126°59′38″ 9°58′27″ 61°26′29″
20°21′54″ 127°10′11″ 10°28′53″ 63°18′09″
동방 29°14′33″ 120°24′42″ 서방 24°11′24″ 66°19′23″
3°04′27″ 119°53′16″ 24°16′13″ 65°57′48″
3°48′53″ 124°27′08″ 24°26′48″ 65°52′54″
2°10′38″ 126°46′24″ 24°25′23″ 66°03′38″
북방 9°16′58″ 117°07′33″ 24°33′10″ 66°29′18″
5°45′08″ 115°28′28″ 24°50′23″ 66°19′34″
1°26′39″ 111°06′39″ 25°15′25″ 66°22′24″
11°42′10″ 116°26′57″ 서방 5°09′16″ 71°07′15″
14°37′18″ 117°50′48″ 4°22′49″ 72°23′20″
13°27′53″ 120°04′04″ 3°44′31″ 72°47′13″
북방 3°22′23″ 105°12′05″ 2°59′01″ 74°42′43″
2°39′10″ 102°57′20″ 7°00′09″ 73°46′03″
1°14′22″ 102°59′45″ 5°10′09″ 74°21′09″
4°54′47″ 108°38′54″ 4°38′02″ 74°42′12″
5°33′09″ 109°01′05″ 28°15′25″ 77°54′21″
5°18′20″ 108°14′55″ 서방 21°52′20″ 80°10′02″
10°06′02″ 99°59′14″ 21°47′32″ 80°36′37″
11°21′09″ 99°29′16″ 22°18′16″ 80°46′34″
11°04′25″ 96°07′42″ 서방 23°27′08″ 92°01′12″
10°09′59″ 95°31′56″ 22°17′32″ 91°18′02″
북방 21°07′33″ 96°09′12″ 21°13′42″ 90°24′40″
17°16′03″ 85°18′25″ 26°54′40″ 82°37′30″
북방 29°44′08″ 90°58′18″ 19°26′02″ 83°46′42″
0°48′07″ 84°28′42″ 25°17′24″ 99°43′35″
24°22′56″ 80°44′34″ 15°58′17″ 98°22′09″
宿 入宿度 距極度 宿 入宿度 距極度
남방 3°38′40″ 67°24′57″ 29°50′13″ 107°07′57″
5°11′00″ 69°42′20″ 23°24′28″ 103°42′30″
7°25′29″ 73°29′26″ 8°00′37″ 106°10′09″
9°22′34″ 76°57′07″ 남방 13°19′59″ 107°34′33″
8°51′11″ 64°44′18″ 19°32′00″ 106°55′55″
10°48′39″ 68°04′50″ 24°28′19″ 107°35′42″
13°58′09″ 69°14′24″ 19°10′40″ 108°03′49″
17°31′55″ 73°12′55″ 10°43′33″ 105°29′39″
남방 5°57′11″ 71°26′36″ 27°16′42″ 106°23′26″
6°12′15″ 69°05′40″ 18°08′28″ 104°03′20″
8°50′20″ 68°02′23″ 22°56′04″ 102°27′21″
9°13′32″ 71°20′05″ 20°04′32″ 101°36′38″
남방 7°36′00″ 83°49′28″ 19°25′43″ 100°06′46″
7°53′52″ 86°10′54″ 十一 15°31′41″ 101°10′11″
9°01′07″ 86°07′02″ 十二 13°53′05″ 99°13′50″
10°17′26″ 83°39′36″ 十三 22°26′02″ 99°03′05″
9°52′54″ 83°05′00″ 十四 25°38′25″ 99°17′04″
12°02′08″ 83°32′13″ 十五 20°22′57″ 109°14′39″
14°41′06″ 84°21′57″ 十六 16°15′31″ 112°04′51″
16°48′35″ 87°05′12″ 十七 20°32′14″ 111°04′50″
남방 20°13′08″ 98°04′19″ 十八 19°42′10″ 115°09′08″
20°32′59″ 92°10′56″ 十九 18°04′02″ 115°30′42″
21°15′28″ 90°35′35″ 二十 14°42′05″ 116°33′38″
23°13′01″ 90°31′52″ 二十一 23°57′28″ 114°07′32″
18°27′10″ 98°59′13″ 二十二 26°26′55″ 112°52′30″
19°42′11″ 100°13′34″ 남방 2°12′58″ 106°47′00″
21°04′22″ 99°16′52″ 0°47′24″ 111°51′56″
남방 26°14′37″ 104°12′27″ 5°43′10″ 105°44′48″
0°59′39″ 101°40′47″ 6°48′41″ 112°38′29″
4°53′36″ 106°08′28″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성경(星鏡)』
『中西對照恒星錄』(常福元, 北京中央觀象臺, 1920)
「황윤석(黃胤錫)의 항성황적경위표(恒星黃赤經緯表)」(나일성, 『동방학지』 19, 1978)
Korean Astronomy(Rufus,W.C.,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20, 1936)
주석
주1

이십팔수의 첫째 별자리. 우리말샘

주2

이십팔수의 여덟째 별자리. 우리말샘

주3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열다섯째 별자리. 초여름에 자오선을 지나며, 주성(主星)은 안드로메다자리의 제타성이다. 우리말샘

주4

스물둘째 별자리의 별들

주5

달이 천구(天球) 위에 그리는 궤도. 황도(黃道)와는 평균 5도 9분의 경사를 이루며 두 점에서 교차한다. 약 18년 6개월을 주기로 황도의 반대쪽으로 돈다. 우리말샘

주6

태양의 둘레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天球)에 투영된 궤도. 천구의 적도면(赤道面)에 대하여 황도는 약 23도 27분 기울어져 있으며, 적도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춘분점, 추분점이라 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나일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