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진만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함경북도 성진시(지금의 김책시)의 동쪽에 있는 유진단(楡津端)과 그 대안(對岸)인 사진단(沙津端) 사이에 있는 만.
목차
정의
함경북도 성진시(지금의 김책시)의 동쪽에 있는 유진단(楡津端)과 그 대안(對岸)인 사진단(沙津端) 사이에 있는 만.
내용

만의 입구는 남남동쪽으로 열려 있다. 너비 약 7.4㎞, 만입 약 5.5㎞이며, 수심은 내만에서 평균 5m, 만 입구에서 10m 내외이다.

함경산맥을 불어 내리는 재넘이(Fohn) 바람과 초여름 오호츠크해고기압이 동해상으로 확장해올 때 불어오는 냉습한 북동풍인 ‘성진 새풍[沙風]’이 유명하다.

만 입구가 넓기는 하나 동남풍은 약한 바람이고 수심이 깊어 천연적인 양항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에 성진항은 일찍부터 개항장(開港場)으로 이 지역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배후지에서 운반된 목재나 철광을 이용하여 제재·펄프·제철·금속 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지리(韓國地理)』(정장호, 우성문화사, 1986)
『개고신한국지리(改稿新韓國地理)』(강석오, 대학교재출판사, 1984)
『한국연안수로지(韓國沿岸水路誌)』(대한민국수로국, 198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