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방중악(房中樂)’이라고도 하며, 서양음악의 실내악에 해당된다. 1930년을 전후하여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 의하여 거문고·가야금·양금·젓대·세피리·해금·단소·장구 중에서 다섯가지 정도의 적은 편성에 의한 합주를 이르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편성의 일반적인 원칙은 없으나 현악기만으로도 편성될 수 있으며, 현재는 위 8가지 악기가 모두 편성된다.
연주시 해금은 원산(遠山)을 가장자리로 옮겨 음량을 줄이고, 젓대는 저취(低吹)나 평취(平吹)를 많이 사용하며, 장구는 변죽을 울리는 주법을 사용한다. 현악 <영산회상 靈山會相>·<별곡 別曲>·<웃도드리 細還入>·<수룡음 水龍吟> 등의 곡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