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대왕신 ()

목차
관련 정보
복개당 / 세조대왕신
복개당 / 세조대왕신
민간신앙
개념
조선전기 제7대 왕 세조에게 부여한 무속신격. 왕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제7대 왕 세조에게 부여한 무속신격. 왕신.
내용

무속에는 다신(多神) 개념이 존재하기 때문에 온갖 신들을 섬기기 마련으로, 세조대왕신이 동제(洞祭)의 당신(堂神)으로 섬겨지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시 마포 신수동의 복개당(福介堂)으로, 당 안의 정면에 세조대왕의 존영을 봉안하고 있어 세조대왕신을 주신(主神)으로 신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복개당이 세조대왕신을 섬기게 된 유래는, 마을에 손복개라는 사람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서 너희 집 느티나무에 세조대왕의 어진(御眞)이 걸려 있으니 이 영정을 받들어 모시라고 했다. 그는 마을사람들과 의논하여 영정을 모시는 당을 세워 당제를 지냈고 이후 마을이 평안하게 되었다고 한다.

당명은 손복개의 이름을 따서 복개당이라 했다. 이 당은 1980년 도로확장공사로 철거되면서 영정과 건물을 에밀레박물관으로 이전한 상태이다.

한편 이처럼 세조대왕신을 모시는 사례는 영남지역에도 있어, 이런 당을 세조영당이라 한다. 왕신 계통의 신들이 무속신으로 섬겨지는 사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왕들 가운데 원한을 사서 신으로 모셔지는 경우와 억울하게 한을 품고 죽게 되어 신으로 모셔지는 경우로, 앞의 사례로는 세조대왕신을 들 수 있고 뒤의 사례로는 단종대왕신(端宗大王神)을 들 수 있다.

세조대왕신은 곧 역사상 많은 사람을 살육하고 왕이 되었기 때문에 무속에서 신으로 섬겨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왕신으로는 공민왕(恭愍王)·태조대왕(太祖大王) 등이 있다.

그리고 당신으로 모셔지는 왕신의 신체(神體)는 흔히 영정을 그려서 당에 보관하는 형태이기에, 신간(神竿) 등을 모시는 경우와는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서울의 민간신앙』(이재곤, 백산출판사, 1996)
『한국민속논고(韓國民俗論考)』(장주근, 계몽사,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