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향당 ()

목차
관련 정보
제주 호근동 본향당
제주 호근동 본향당
민간신앙
개념
제주도에서 마을의 토지나 주민의 생사화복 등 제반 사항을 수호하는 신을 모신 신당(神堂).
내용 요약

본향당은 제주도에서 마을과 주민의 생사화복 등을 수호하는 신을 모신 신당이다. 각 마을에는 마을 수호신계의 본향당, 육아, 치병신계의 일뤳당, 사신계의 여드렛당, 어업계의 해신당, 개당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본향당은 마을의 으뜸 당으로 인식된다. 마을에 따라서는 일뤳당이나 여드렛당, 영등당 등을 마을 수호신인 본향당으로 여기기도 한다. 본향당의 당제의 정기 의례로는 신과세제, 영등굿, 마불림제와 백중제, 신만곡대제 등이 있다. 부정기 의례는 마을의 불운, 개인별 기원과 관련되어 있다. 본향당은 마을 주민을 통합하고 지역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기능을 한다.

목차
정의
제주도에서 마을의 토지나 주민의 생사화복 등 제반 사항을 수호하는 신을 모신 신당(神堂).
개설

제주도의 각 마을에는 마을 수호신을 섬기는 본향당을 비롯해서 육아 · 치병신계의 일뤳당〔七日堂〕, 사신(蛇神)계의 여드렛당, 어업을 관장하는 해신당(海神堂) · 개당(浦堂) 등 여러 당이 있으며, 한마을에 이들 당이 여러 개가 공존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본향당은 마을의 으뜸 당으로 인식된다. 또 이곳에 모시는 신격은 일반적으로 ‘한집’ 또는 ‘토주관(土主官, 土地官)’이라고 명명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을의 본향당에 본향당신 이외에 각종 직능의 신격이 아울러 모셔지기도 한다.

마을에 따라서는 일뤳당이나 여드렛당, 영등당 등이 본향당이 되어, 이곳 당신이 마을 수호신으로 여겨지는 사례도 적지 않다. 본향당의 신체(神體)는 신목(神木)인 경우가 일반적이며 그 옆에 당집이 지어진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당에는 석상(石像)을 신체로 여겨 모시는 경우도 많다.

내용

본향당은 본향당신의 계보에 따라 분파가 되어 새로운 당이 설립되기도 하는데, 이를 ‘가지가른당’이라고 한다. 한 본향당에서 이렇게 이웃 마을로 가지를 갈라가 새로운 본향당이 설립되어도 그 당신에게 바치는 제물이나 제일 등은 본당과 분당이 동일하여 공동의 제사를 지내는 것이 보통이다. 본향당신을 모셔 대접하는 제차를 ‘본향ᄃᆞ리’라고 부르며, 본향당의 당제는 정기적으로 행하는 의례와 부정기적으로 행하는 의례로 나누어진다.

정기적 의례로는 신과세제(新過歲祭), 영등굿, 마불림제와 백중제(百中祭), 신만곡대제(新萬穀大祭) 등이 있다. 정기적인 의례일에는 주로 부녀자들이 각각 제물을 등에 지고 와서 당에 모여 제를 지내게 되는데, 당제의 집행은 당매인심방〔堂專屬巫〕이 맡아서 한다.

신과세제는 부락의 신년제이다.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 사이의 날짜를 잡아 제를 올리는데, 마을의 안녕과 생업의 풍요 등을 기원하고 개별적인 안녕함과 풍성을 비는 것이 주 내용이다. 영등굿은 음력 2월 초하루와 13∼15일 사이의 어느 날에 제를 올리는 것으로, 이 굿은 본향당에서 행해지지만 본향당신을 위한 굿이라기보다 영등신을 모시는 굿이다. 해촌(海村)에서 이 굿은 소라 · 전복 · 미역 등 해녀 채취물의 풍요를 비는데 목적이 있다.

마불림제와 백중제는 보통 음력 7월 14일 또는 15일에 하는데, 당신의 신의(神衣)를 보존하고 있는 당에서 장마가 갠 뒤 그 신의를 내놓아 곰팡이를 풀어내는 제라고 한다. 신만곡대제는 주로 음력 9월이나 10월의 어느 날을 잡아 제를 올리는 것으로, 추곡의 수확 후 새 곡식으로 제물을 마련하여 올리고 기원하는 제이다. 곡식은 베어 탈곡하지 않은 채로 초수(初穗: 첫 수확한 벼)를 당제 때에 올린다고 한다.

임시적 의례는 마을에 불운이 계속되는 경우 택일을 하여 마을제의 형식으로 지내며, 또 개인별로 출산 · 질병 · 불운 등의 일이 있으면 당에 가서 기원을 한다. 개인별 기원은 당굿이라 하지 않고, “당에 간다”, “할망듸 간다(할머니에게 간다)”라는 말로 표현한다.

본향당의 제차는 ① 초감제, ② 상계, ③ 추물공연, ④ 다섯신위 특별대위맞이, ⑤ 개인축원, ⑥ 철밴, ⑦ 배놓음 순으로 진행된다. 이상의 제차는 영등굿의 제차이나 대개 모두 이와 같이 전개되므로 참고할 수 있다. 본향당굿을 할 때는 반드시 ‘당신본풀이’가 불리는데, 이 본풀이는 제의에서 사제자〔심방〕에 의해 불리는 살아있는 신화이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본풀이로는 ‘송당본풀이’가 있다.

송당은 ‘한집’이라 해서 큰댁이라 하는데, 많은 다른 본향당신이 여기에서 분파해 나갔다고 한다. 이외에 서귀동 본향당이나 세화리 본향당, 월정리 본향당, 사계리 본향당 등이 당본풀이와 함께 비교적 많이 알려진 본향당이다. 제주도의 본향당은 마을을 지켜주는 생산수호신을 모신 당으로 마을 주민의 통합 기능을 부여하고 지역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무가본풀이사전』(진성기, 민속원, 1991)
『남국의 무속』(진성기, 형설출판사, 1987)
『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 집문당, 1986)
『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한국의 향토신앙』(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집필자
김헌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