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악부 ()

한문학
작품
고려 후기에 민사평(閔思平)이 지은 악부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민사평(閔思平)이 지은 악부시.
개설

이제현(李齊賢)이 「소악부」를 지은 뒤에 작자에게 보내어 화답하라고 하여 이제현의 것을 본받아 지었다고 한다. 칠언절구 6수가 『급암시집(及菴詩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시의 서(序)에, 이제현이 근래에 지은 「소악부」 몇 장을 작자에게 보여주었다. 작자는 후배를 이끌어 주는 이제현의 심절한 뜻에 무척 감사하면서도, 자기의 졸삽한 능력으로 지금껏 화답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현이 또다시 「소악부」 2장을 추가해서 보내왔으므로 송구스러운 나머지 삼가 약간의 시를 지어서 이제현의 좌우에 바친다고 하였다.

6수 가운데에서 확실한 근거를 찾을 수 있는 것은 네 번째 시와 다섯 번째 시이다. 네 번째 시는 악지에 있는 「삼장(三藏)」으로 해설도 있고, 또 원가인 「쌍화점」이 지금 그대로 남아 있어 의심할 여지가 없다. 다섯 번째 시는 악지의 해설과 비교해 볼 때 「안동자청(安東紫靑)」임에 틀림없다.

확실하지는 않으나 추정이 가능한 것은 첫 번째 시와 여섯 번째 시이다. 첫 번째 시는 시구에 용안이라는 말이 나오고, 이 작품을 첫머리에 위치시켰다는 점과 그 내용으로 볼 때, 이 시는 충혜왕이 음란한 노래를 좋아하여 스스로 지었다는 「후전진작(後殿眞勺)」으로 추정된다.

여섯 번째 시는 악지에 나오는 「월정화(月精花)」로 추정된다. 악지의 해설에 의하면, 진주 사록(司錄) 위제만(魏齊萬)이 기생 월정화에게 반해서 그 부인을 병들어 죽게 하였는데, 읍인들이 그것을 슬퍼하여 부인의 생존시의 고통과 그 남편의 광혹을 노래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추정조차 불가능한 것은 두 번째 시와 세 번째 시이다. 두 번째 시는 떠도는 물 위의 거품들을 굵고 성긴 베주머니에 주워 담아 어깨에 메고 온다는 것으로, 인간세사의 환멸과 허무에 비유한 것이다. 세 번째 시는 검은 구름다리 끊어지고, 은하수 기울어진 이 캄캄한 깊은 밤에 진흙이 끝없는 거리를 어디라고 가느냐라는 내용으로, 말세 어지러운 환도에 굳이 출세를 위하여 나서려는 남편의 모험을 만류하는 현처의 간곡한 소회인 듯도 하다.

의의와 평가

소악부는 한시이면서도 우리말 노래, 특히 민요의 진솔한 사연을 담으려고 하였기에 주목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소악부가 이미 상실된 원가의 면모를 불완전하게나마 알려주었고, 유학자들에 의하여 왜곡되었던 내용을 일부분이나마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해준 것은 높이 평가된다.

참고문헌

『급암시집(及菴詩集)
『한국문학통사 2』(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
「고려말기(高麗末期)의 소악부(小樂府) -고려속요(高麗俗謠)와 사대부문학(士大夫文學)-」(이우성, 『한국한문학연구』1, 한국한문학연구회,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