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집 ()

송파문집
송파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서우의 시 · 제문 · 소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서우의 시 · 제문 · 소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20권 10책. 필사본. 서발이 없어 편집 경위·필사 연도는 알 수 없다.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영남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10에 시 1,203수, 권11에 사부(辭賦) 10수, 명(銘) 8편, 잠(箴) 1편, 송(頌) 1편, 찬(贊) 2편, 비답(批答) 3편, 교유(敎諭) 3편, 의주문(擬奏文) 1편, 정문(呈文) 2편, 지(識) 2편, 서(序) 11편, 권12에 발(跋) 1편, 기(記) 3편, 설(說) 5편, 서(書) 6편, 제문 18편, 애사 1편, 권13에 묘지 11편, 권14에 신도비 4편, 권15·16에 묘갈 34편, 권17에 묘표 1편, 행술(行述) 1편, 시장 2편, 행장 1편, 권18에 행장 2편, 권19에 소(疏) 28편, 권20에 잡저 7편, 여문(麗文) 8편, 청암록(靑巖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1의 「마천령부(摩天嶺賦)」는 1680년(숙종 6) 영성(寧城)으로 귀양갈 때 단천을 지나가며 마천령의 험준한 모습을 보고 지은 것으로, 힘들었던 노정과 마음속에 쌓인 우울한 심사를 읊었다. 이밖에 비단 부채, 가을 꾀꼬리 등을 소재로 버려진 신세를 우의한 내용, 도잠(陶潛)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의경을 모방하여 지은 작품 등이 있다.

김득신(金得臣)의 문집서인 「백곡문집서(柏谷文集序)」에서는 『사기』 열전의 「백이전(伯夷傳)」을 11만 3천 번이나 읽은 김득신의 다독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서(書) 가운데 「답심참판단논갈문서(答沈參判檀論碣文書)」는 묘갈문 쓰는 법에 대해 고금의 차이를 들어 정도를 제시한 글이다.

소는 대개 사직소로서 정언·대사간·도승지·예조참의·병조참의·함경감사·공조참판·황해감사 등의 벼슬을 받고 사직한 것이다. 묘표·행장·시장·신도비 등의 글에는 오정일(吳挺一)·구봉령(具鳳齡)·오시수(吳始壽)·윤선도(尹善道) 등 당시 남인 계열의 인물에 대한 글이 실려 있다.

「잡설(雜說)」은 한유(韓愈)의 「잡설」을 모방하여 우의한 글로 2편이 있다. 「우언(寓言)」은 모두 7편으로 제나라의 장님 이야기, 노나라의 부자 이야기 등의 내용이 실려 있다. 그 가운데 제나라 장님 이야기는 장님이 눈을 뜨게 되면서 일어나는 상황의 전개를 통해 임금의 도리를 역설한 글이다. 「후도사전(嗅道士傳)」·「계자문(誡子文)」 등도 우언의 세계를 다룬 글이다. 여문에는 모란을 화왕(花王)으로 봉하는 것을 상정하여 지은 왕의 조서인 「의봉모란위화왕조(擬封牡丹爲花王詔)」, 모란이 화왕에 봉해짐을 사양하는 뜻을 임금에게 올린 표문인 「의모란사봉화왕표(擬牡丹謝封花王表)」 등이 있다.

저자의 시 세계는 우선 양적으로 호한하기 때문에 쉽게 개괄하기가 어렵다. 다만 소나기가 지나간 어촌의 초가에서 아이는 그물을 고치고 아버지는 도롱이를 고치는 광경을 묘사한 「어촌즉사(漁村卽事)」는 박순(朴淳)의 시 ‘울타리에 도롱이 걸려 있고 처마에는 어망을 말린다.’라는 시를 이은 명편으로 거론되는 작품이다. 「도망후기몽(悼亡後記夢)」이라는 시도 사랑하던 사람이 죽고 난 뒤의 고적한 심경을 잘 묘사한 걸작이다.

어디든지 산이 있고 달이 있고 물이 있지만 고향의 아미산(峨眉山)과 그곳에 뜨는 달이 제일 그립다고 하여,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절실하게 그린 「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도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던 시이다. 형식적 기교로서 희작적 경향을 보이는 작품이 많은 것도 특색 중 하나다.

「삼월정당삼십일(三月正當三十日)」이라는 시 10수는 칠언절구로서, 3월 30일을 맞아 봄이 가는 것을 아쉬워하며 마음에 봄의 흥취를 다하려는 감상을 적은 것이다. 이 10수의 시는 모두 신(身)·춘(春)의 운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밖에 오언절구로 끝구에 ‘승(僧)’자 운을 넣어 108수를 지은 시도 있는데, 만년에 승려와 교유하면서 절을 찾아 산수를 이야기하고 선리(禪理)를 담론하면서 지은 것이다. 주로 절의 위치와 분위기, 주변의 경치 등을 읊었는데, 작자의 불교관 내지는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의 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시화총림(詩話叢林)』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호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