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가예의문 ()

불교
문헌
조선 후기, 승려 명조가 불교의 다비법을 정리하여 1670년에 통도사에서 간행한 불교 의례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세기
간행 시기
1670년(현종 11)
편저자
허백 명조(虛白明照)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판본
목판본
소장처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승가예의문』은 조선 후기 승려였던 허백 명조(虛白明照, 1593~1661)가 불교의 다비법(茶毘法)을 정리한 책이다. 17세기 후반에 대흥사, 갑사, 통도사, 보림사, 옥천사 등에서 5차례 간행되었다. 당시에는 『석문상의초』, 『석문가례초』, 『승가예의문』, 『다비문』, 『다비작법』 등 불교 상장례(喪葬禮)에 관한 의식집이 빈번히 간행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 승려 명조가 불교의 다비법을 정리하여 1670년에 통도사에서 간행한 불교 의례서.
편저자

허백 명조(虛白明照, 1593~1661)는 속성이 이씨(李氏)이다. 13세에 출가하여 청허휴정(淸虛休靜)의 법손인 송월응상(松月應祥)의 법맥(法脈)을 이었다. 정묘호란 등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는데, 정묘호란 때 승군(僧軍) 4,000여 명을 거느리고 안주성(安州城)을 지켰으며, 병자호란 때는 군량미를 모아서 제공하였다고 한다.

서지사항

1권 1책. 현존하는 간행본은 ①1656년 전라 해남 대흥사본, ②1670년 충청 공주 갑사본, ③1670년(현종 11) 경상 양산 통도사본, ④1682년 전라 장흥 보림사본, ⑤1689년 해남 대흥사본, ⑥1694년 전라 담양 옥천사본 등이다. 『한국불교전서』 제8책에 수록되어 있는 저본(底本)은 1670년 통도사본이며, 대교본(對校本)은 1694년 옥천사본과 1670년 갑사본이다.

편찬/발간 경위

1670년에 간행한 통도사본 권말에 충현(冲絢)이 쓴 발문에 의하면, 허백이 다비법이나 승가의 예규를 모아서 간행하였다고 한다. 또한 통도사본에는 의암(義巖)의 「다비작법문(茶毘作法文)」이 첨가되어 있다.

내용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은 「명정서규(名旌書䂓)」 · 「상례전제절차(喪禮奠祭節次)」 · 「승상복도(僧喪服圖)」 · 「송장시금단규(送葬時禁斷䂓)」의 4항으로 구성된다. ‘명정(名旌)’이란 죽은 사람의 품계 · 관직 · 성씨를 기록한 깃발로서, 「명정서규」는 명정을 쓰는 규칙을 설명한 것이다. 명정을 쓰는 방식은 대종사(大宗師) · 염불인(念佛人) · 판사인(判事人) · 학도인(學道人) · 평상인(平常人)에 따라 달리 하고 있다.

「상례전제절차」에서는 상례를 모시는 절차를 설명하고 있는데, 발인(發靷)에서부터 쇄골법(碎骨法)까지를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이 가운데 「오방불청서규(五方佛請書規)」에서는 동 · 서 · 남 · 북 · 중앙 세계의 불(佛)을 청하여 각각 청색 · 백색 · 적색 · 흑색 · 황색의 번(幡)을 쓰는 서식을 규정하고 있다.

「승상복도」에서는 승려가 상복을 입는 기간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송장시금단규」에서는 상례에 참여하여 밥을 먹거나 돈을 받는 등 불제자답지 않은 행위를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상가(喪家)에는 『금강경(金剛經)』과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다과와 떡을 가지고 가서 영혼을 위로하고 독경(讀經)하여 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할 것을 강조하였다.

부록으로 실린 「다비작법문」에서는 다비의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것은 삭발(削髮)→목욕(沐浴)→세수(洗手)→세족(洗足)→착군(着裙)→착의(着衣)→착관(着冠)→정좌(正坐)→시식(施食)→십념(十念)→송심경(誦心經)→기감(起龕)→거화(擧火)→하화(下火)→대중동송행원품(大衆同誦行願品)→습골(拾骨)→기골(起骨)→쇄골(碎骨)→산골(散骨)→진언개계(眞言開啓)→중화향화청(衆和香花請)의 순서이다.

의의와 평가

『승가예의문』은 청허계 사명파 허백 명조가 편찬한 불교 상례집이다. 당시 부휴계의 벽암 각성(碧巖覺性)의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가 1657년(효종 8)에 백곡 처능(白谷處能)에 의해 전라도 징광사에서 개판되었고, 각성의 문도인 나암 진일(懶庵眞一)의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가 1660년(현종 1)에 간행되었다. 이처럼 17세기 중반 부휴계와 청허계 사명파를 대표한 이들이 불교 상례집을 편찬 · 간행한 것은 당시 서산계와 부휴계 등 문파와 법통이 성립하면서 유교식 종법에 의한 부계 친족 질서 재편이라는 시대적 변화상이 반영된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벽암 각성)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한국불교전서』 제8책(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논문

김방룡, 「조선후기 불교의례의 정비와 근대적 계승」(『한국종교』 32,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08)
김용태, 「유교사회의 불교의례: 17세기 불교 상례집의 五服制 수용을 중심으로」(『한국문화』 7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