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주 후곡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승주 후곡리 유적 출토 도자기
승주 후곡리 유적 출토 도자기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고인돌과 조선시대 백자가마터 관련 복합유적. 가마터 · 지석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고인돌과 조선시대 백자가마터 관련 복합유적. 가마터 · 지석묘.
개설

대곡리 한실마을 앞 보성강 건너편의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로 이 지역에서는 지표조사시 산록의 경사면에서 3개군 27기, 그리고 평지의 논에서 3기 등 모두 30기의 고인돌과 조선시대 백자요지가 발견되었다.

그 중 백자요지가 지난 1986년과 1987년 2차에 걸쳐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내용

이 백자요지는 행정구역상으로는 순천시 송광면 후곡리에 위치한다. 이 곳은 순천시의 서남부에 소재한 높이 918.8m의 모후산(母後山) 동남편으로, 모후산과 연결되어 뻗어내린 야산의 맥이 동쪽에 있는 보성강 연안까지 내려오는 지형의 가운데 골짜기에 해당된다.

가마[窯]가 위치한 지역은 이러한 지형조건과 함께 사질토와 석비레층이 형성된 토층이 존재해 도자기가마 축조에 필요한 최상의 토질을 갖추고 있으며,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고령토의 맥이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후곡리요지는 원료공급도 용이하며 수로를 이용한 운송도 편리한 지점으로 도자기가마 설치에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

가마는 석비레층을 파내어 요상(窯床)을 만들고 양벽은 진흙으로 축조해 지상에 올린 터널식 등요이다. 소성실은 3개의 방으로 이루어지고 각 방은 불창살로 연결되고 있으며 화당(火堂)인 봉통은 반지하식의 진흙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은 1실(一室)의 터널식 등요에서 계단식 연실등요(連室登窯)로 이행되는 단계의 형식, 또는 1실의 터널식 요를 백자소성에 적합한 구조로 변형시킨 형식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선 초기부터 18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조선백자 지방요의 기본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백자의 기종은 바리[鉢]·접시·대접·뚜껑[蓋]·단지[壺] 등이 주종을 이루며, 병(甁)·장군·떡살 등도 출토되었는데 이것들은 모두 일상용기이다. 대부분이 문양이 없는 것들이나, 약간의 접시·대접에서는 철회(鐵繪)기법도 보인다. 굽는 방법은 갑발을 사용하지 않고 요상에 도짐을 놓고 그 위에 기물을 그대로 놓은 나번(裸蕃)으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양상을 통해볼 때, 후곡리 요는 갑발을 사용한 고급품은 전혀 굽지 않고 나번으로 물건을 포개어 소성한 대량생산체제의 민수용(民需用) 가마이다. 또한 이는 중국 명대(明代) 백자의 영향을 받은 예리한 수직굽, 가는 모래받침, 정제된 기형의 특징을 지닌 백자와는 다르다. 특성상 오목굽에 바탕흙을 빚어 받치는 전통성이 강한 굽형식, 간략한 초문(草文) 형태의 활달한 필치인 철회문양 등이 보여 분청사기의 전통이 계승된 도자기라 할 수 있다.

이 후곡리 가마는 절대연대를 추정할 만한 근거는 없지만, 전반적인 특징요소로 미루어 보아 17세기경이 중심연대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후곡리백자도요지」(최숙경·나선화, 『주암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Ⅴ, 전남대학교박물관, 198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몽룡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