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후담 ()

벽위편 / 신돈와서학변
벽위편 / 신돈와서학변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소학차의』, 『서학변』, 『대학후설』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이로(耳老)
하빈(河濱), 돈와(遯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02년(숙종 28)
사망 연도
1761년(영조 37)
본관
거창(居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소학차의』, 『서학변』, 『대학후설』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이로(耳老), 호는 하빈(河濱)·돈와(遯窩)·금화자(金華子). 신보(愼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신지일(愼之逸)이고, 아버지는 통훈대부 신구중(愼龜重)이다. 어머니는 우계 이씨(羽溪李氏)인 이정관(李正觀)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23년(경종 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그 뒤 과거를 포기하고 오로지 성리학(性理學)의 연구에만 전념하기로 결심하였다. 신후담은 1724년 1월에 이익(李瀷)을 처음 찾아뵙고 그 뒤부터 변함없이 이익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이익의 실학적인 학풍에 깊이 감동하였다. 신후담이 뒷날 실학자로 성장하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익과의 만남은 서학(西學), 곧 천주학에 관한 미지의 학문세계를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곧 서학에 관한 서적들을 구하여 열심히 연구하여, 천주교를 철저히 비판한 『서학변(西學辨)』을 지었다.

이 무렵에 건강이 나빠져 잠시 책을 멀리하고 일상 생활의 실천윤리에 힘을 썼다. 이에 『소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뒤 『소학차의(小學箚疑)』를 저술하기에 이르렀다. 건강이 회복되자, 1728년(영조 4)부터 다시 활발한 연구와 저술 활동에 들어갔다.

신후담은 이익을 찾아가거나 편지를 통해 의심나는 분야를 확인했고, 새로운 지식도 얻으면서 주로 『중용』과 『역경』의 연구에 힘썼다. 1734년에는 그동안 연구해온 『주역』에 자신의 새로운 견해를 붙인 『주역사신편(周易辭新編)』 7권을 4년 만에 완성하였다.

1742년에는 『대학후설(大學後說)』·『중용후설(中庸後說)』을 저술하였다. 『대학』, 『중용』을 연구해온 결과, 신후담은 장절(章節)에 대해 주자(朱子)와 견해를 달리하였다.

이와 같이 신후담은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 연구와 저술 활동에만 몰두하였다.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특히 주목되는 것은 『서학변』이다. 이 책은 명나라 때 중국에서 활동한 야소회(耶蘇會, Societas Jesu) 신부들이 지은 책들 가운데서 『영언여작(靈言蠡勺)』·『천주실의(天主實義)』·『직방외기(職方外記)』를 차례로 비판한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서양의 스콜라 철학에서 내세우는 영혼과 신(Deus)을 성리학의 견지에서 비판하였다. 즉 사람이 죽은 뒤에 영혼은 없어진다고 하는 영혼불멸설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신후담에게는 스콜라 철학에서 말하는 영혼(anima)이 성리학에서 말하는 본성(本性)에 가까운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신후담은 신, 곧 천주에 대해서도 천주가 만물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있는 만물을 다스릴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천주를 상제(上帝)라고 이해했는데, 이는 상제와 만물의 관계는 사람의 마음과 몸의 관계와 같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마음이 몸을 낳지 않고 다만 다스릴 뿐이라는 것이다. 천주와 영혼의 불멸을 내세우고 또 천당과 지옥을 믿는 서학은 어디까지나 불교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한 종파라고 보았다.

그런데 당시 스승인 이익은 서학의 정연한 논리나 주의주장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알고 제자들에게도 깨우쳐주었는데, 이 때 신후담은 이익에게서 서학을 소홀히 보아 넘기지 말라는 충고를 들었다.

신후담은 23세라는 젊은 나이에 『서학변』을 저술하였다. 이 책을 저술하기 위하여 『천문략(天問略)』·『곤여도설(坤輿圖說)』·『영언여작』·『천주실의』·『직방외기』 등의 천주 서적을 탐독하고 이를 철저히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히 종교·철학·문물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그 결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성리학의 좁은 테두리를 벗어날 수 있었다. 더구나 이익의 가르침은 한층 더 신후담을 발전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학자들이 그랬듯이 전근대적인 성리학에 물들어 있어, 서학에 대해서는 너무나 이단시했기 때문에 서학 연구에서 얻은 새로운 지식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던 것 같다. 물론 『중용』이나 『역경』의 해석에 독자적인 견해가 있기는 했지만, 그러한 새로운 해석이 성리학을 극복하는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따라서, 신후담의 학문적 업적은 스승인 이익의 눈에 들지 못했고, 심지어 10년 아래이기는 하지만 이익의 제자 안정복(安鼎福)에게조차 알려지지 않은 듯하다. 실제 신후담이 학계에 알려진 것은 이만채(李晩采)가 찬한 『벽위편(闢衛編)』이 1931년에 간행된 뒤의 일이다. 여기에 『서학변』이 실려 있다.

단지 서학을 비판했다는 것만으로 실학자라 평가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점은 신후담의 성리학적인 저술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서만 밝혀질 것이다. 특히, 신후담의 『중용』이나 『역경』에 대한 해석은 주자의 해석과 다르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성과가 드러나리라 본다.

참고문헌

『성호전서(星湖全書)』
『하빈문집(河濱文集)』
『정산집(貞山集)』
『소남문집(邵南文集)』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신후담·안정복의 서학비판에 관한 연구」 (최동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