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제석천룡도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제석천룡도
하동 쌍계사 제석천룡도
회화
작품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81년(정조 5)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24㎝, 가로 176㎝. 신중(神衆) 가운데 제석(帝釋)과 천룡(天龍)을 도상화한 그림이다.

화기에 의하면 ‘제석천룡합위(帝釋天龍合位)’를 금어(金魚 : 畫僧)인 평삼(平三)·극찬(極贊)·성탁(成卓)·송주(誦呪) 등이 그렸다고 한다.

그림의 구도는 화면을 상하로 나누어 윗단에는 제석과 범천(梵天)을 비롯한 신중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아랫단에는 천룡과 팔부중(八部衆)을 배치한 2단 구도 형식이다. 제석 그림은 모든 등장 인물들이 구름 속에 서 있는 모습이다.

윗부분에 합장한 제석과 범천을 나란히, 그리고 그 아래로 보살(菩薩)과 왕(日官天子·月官天子)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들보다 조금 작은 모습의 여러 천녀상(天女像)이 비파·피리 등 여러 가지 악기로 연주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천룡 그림은 투구를 쓰고 합장한 자세의 위태천(韋汰天 : 불법 수호의 신)을 좌우에서 팔부중이 2열로 늘어서서 호위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그림은 공간의 구성상 매우 짜임새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인물들의 자세도 비교적 자연스러운 편이다. 정교하고 가는 선으로 표현된 얼굴은 생동감이 있다. 하지만 인물들의 옷주름이나 그 주위의 구름에는 도식화된 면이 엿보인다.

색감은 중간 색조로 검붉은 색을 주로 쓰고 녹색·황색·감색을 적절히 배합하여 차분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하지만 군데군데 색 배합이 어울리지 않아 화면의 색 조화를 깨는 부분도 있다. 색채의 설정이라든가 묘선(描線) 등에서 18세기 후반 불화의 양식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불화(韓國佛畵)의 연구(硏究)』(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한국(韓國)의 불화(佛畵)』(문명대, 열화당, 1977)
「이조불화(李朝佛畵)의 연구(硏究) 1 -탱화편 상-」(김영주, 『고문화』10,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7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