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사 종 ( )

목차
관련 정보
김천 직지사 동종
김천 직지사 동종
공예
유물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범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범종.
내용

1713년(숙종 39) 작. 높이 1.44m, 입지름 1.13m. 종신에 새겨진 명문(銘文)에 의하면, 순치15년(順治十五年, 1658) 무술 4월에 800근(斤)을 들여 주조하였다가 강희 52년(康熙五十二年, 1713)에 개주한 것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푸른 녹색이 감돌며 육중한 편인 이 종은 쌍룡(雙龍)의 종뉴(鐘鈕)가 있는 정부(頂部) 아래 종신이 연결된 형태로, 종신의 외형선은 견부(肩部)로부터 벌어지며 내려오다 구연부(口緣部)에 이르러 약간 오므라드는 선형(線形)을 취하고 있어 안정감과 육중함을 더하여 주고 있다.

종신의 구조는 종복(鐘腹)에 있는 띠장식대[太彫線帶]를 중심으로 상·하로 나누어졌는데 윗부분에는 견부에 붙어서 상대가 있고, 그 아래에는 4연곽(蓮廓)과 4보살상이 교대로 배치되었으며, 아랫부분에는 구연부에 붙어서 하대가 있고, 그 위에 한 줄의 띠장식과 명문이 둘러져 있어 비교적 공간의 짜임새가 있는 편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종뉴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었는데 걸어놓는 기능만 있는듯 조각성(彫刻性)은 다소 결여되었다. 상대는 한 줄의 융기선으로 구획을 지어 그 안에 원문범자(圓文梵字)가 둘러져 있는 모양으로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과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을 시문한 것이다.

정사각형꼴의 연곽은 운당초문(雲唐草文)을 넣은 연곽대 속에 9개의 연화(蓮花) 모양의 종유(鐘乳)가 원문(圓文) 안에 돌출되어 있고, 이 연곽과 연곽 사이에 배치된 보살상은 양손을 합장한 채 연화를 밟고 서 있는 모습으로 얼굴이 원만하고 의습선은 비교적 유려한 편이다.

하대는 가는 줄기의 연화당초문이 섬세하게 돋을새김 주조되었으며, 종복에 둘러진 띠장식대는 한 줄의 태선(太線)을 중심으로 상·하에 가는 선이 한 줄씩 배치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양감이 풍부한 이 직지사종에서 보이는 것처럼 종유를 음통(音筒) 없이 쌍룡으로 조각한 점과 종신에 띠장식대를 두른 점 등은 중국종의 특색인데, 조선 초기 종들에 수용되었던 이 외래적 요소가 이 종에서는 토착화되어 한국종의 일면이 되어 버린 것을 느끼게 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朝鮮後期) 범종(梵鐘)의 연구(硏究)」(안귀숙, 『범종』6,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