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륙놀이 (놀이)

목차
관련 정보
쌍륙
쌍륙
민속·인류
놀이
편을 갈라 차례로 주사위를 던져 말을 써서 말이 먼저 궁에 들어가기를 다투는 성인여자놀이. 경기놀이.
목차
정의
편을 갈라 차례로 주사위를 던져 말을 써서 말이 먼저 궁에 들어가기를 다투는 성인여자놀이. 경기놀이.
내용

실내오락의 하나이다. 한자로 ‘雙陸(쌍륙)’으로도 표기하며, 다듬은 나무(말)를 쥐고 논다고 하여 ‘악삭(握槊)’으로 쓰는 일도 있다.

한무제(漢武帝) 때, 서역에서 중국으로 전래되었다는 이 놀이는 우리 나라에 들어와 백제에서 유행하였으며, 다시 일본에 전해져서 ‘스고로쿠’가 되었다.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의 시나 조선시대 심수경(沈守慶)의 ≪견한잡록 遣閑雜錄≫에도 쌍륙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고, 또 김시습(金時習)이 <쌍륙>이라는 시를 지은 것 등으로 미루어 이 놀이가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집안에 갇혀 살아야 했던 조선조의 상류층 부인들에게 있어서 쌍륙은 몇 가지 안 되는 실내놀이 중의 하나였던 것이다. 이 놀이는 연중 어느 때나 할 수 있지만 대체로 정초에 많이 놀았으며 한가위나 겨울철의 한가한 시간에 즐기기도 하였다.

놀이방법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쓰는 말도 일정하지 않다. 놀이도구로는 말판과 여러 개의 말 그리고 두개의 주사위가 필요하다.

주사위는 투자(骰子)라고도 하는데, 상아 따위의 뼈를 각 변의 길이가 1㎝쯤 되게 6면체로 깎고, 6면에는 점으로 1에서 6까지를 새겨서 표시하였다. 이 놀이는 윷처럼 두 사람이 하거나 여럿이 편을 갈라서도 하는데 방법은 대략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림]과 같은 말판에 갑은 검은말, 을은 흰말을 각각 16개씩 가지고 배치한다. 갑은 검은 말을 자기 앞 오른쪽의 ‘1’자가 쓰여진 금 안에 2개, ‘5’자 금에 3개, ‘6’자에는 6개 등 모두 11개를 놓으며, 또 을의 오른쪽 앞의 ‘1’자에 2개, ‘5’자에 3개 등 나머지 5개를 모두 세운다. 반대로, 을도 갑이 세운 것과 같이 자기 자리와 상대의 자리에 16개의 말을 모두 배치한다.

이 말들은 두 사람이 번갈아 가며 던지는 주사위의 숫자에 따라 움직인다. 예를 들어, 갑이 던진 주사위의 숫자가 한번은 3, 또 한번은 4라고 하면 합해서 7이 되므로 그는 자기의 검은 말 한 개를 일곱 금 전진시킬 수 있다.

이 놀이는 갑·을 양편이 말을 자기편의 금 안에 집결시켰다가 먼저 다 나가게 하는 쪽이 이긴다.(한 금 안에는 말을 6개만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을의 앞에 있던 갑의 말 5개는 자연히 자기 앞의 왼쪽에 배치된 을의 말 5개가 서 있는 곳을 지나가는데(갑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에 격전이 벌어진다. 갑과 을의 말이 1:1로 한 금 안에 들어 있을 때 어느 한쪽에서 주사위를 던져서 그 결과로 또 하나의 말이 금 안에 들어가면 상대의 말을 잡는다.

그리고 말 2개를 동시에 쓰면서 상대의 말 2개를 단번에 잡기도 한다. 그것은 두 번 던진 주사위의 숫자가 모두 같을 때이다. 가령, 갑의 말이 한 금 안에 2개 이상 있을 때 그가 던진 주사위가 3:3이면 2개의 말을 세 금, 4:4이면 네 금을 전진시키며, 옮겨가는 자리에 있던 상대 말은 다 잡는 것이다.

또, 잡고 잡혔던 말들을 다시 출발시키므로 충돌은 계속되며, 자기의 말이 상대의 진영에 다 들어갔어도 모아 세운 말이 나게 해야 하므로 놀이의 긴장은 계속된다. 주사위를 던졌을 때 같은 숫자가 나와야 좋은 것은 물론이지만, 말을 잘 써야 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어갈 수 있다. 윷에서는 상대 말을 잡으면 한번 더 치지만, 쌍륙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놀이』(김광언, 인하대학교출판부, 1982)
『한국민속대관 4-세시풍속·전승놀이-』(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