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망태 (씨앗태)

목차
관련 정보
씨앗망태
씨앗망태
산업
물품
파종을 할 때 씨앗을 담는 그릇.
이칭
이칭
씨둥기미, 송대이, 씨부께, 부게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파종을 할 때 씨앗을 담는 그릇.
내용

씨앗을 뿌릴 때 쓴다. 경상북도 문경에서는 ‘씨둥기미’, 경기도 소래에서는 ‘송대이’, 제주도에서는 ‘씨부께’ 또는 ‘부게기’라고 한다. 주로 짚으로 짜며 그 형태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가 있다.

① 물푸레나무를 말굽쇠모양으로 구부려서 손잡이 부분에 넣고 짠 것으로, 앞은 삼태기처럼 헤벌어졌다. 앞 좌우 양 끝과 손잡이 중간에 새끼줄을 달아 어깨에 멘다.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쓴다.

② 전북특별자치도 무주의 것은 측면이 정사각형이어서 보통의 망태를 연상시키나 위에서 보면 원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앞뒤 양쪽이 불쑥 튀어나오게 짰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닥의 한끝에 고정된 멜끈은 불쑥 나온 배를 좌우로 싸안듯이 올라가서 다른 끈과 합친다. 능숙한 이가 아니면 짜기 어렵다. 무게는 1. 3㎏이다.

③ 직사각형으로 울이 깊게 짜고 윗부분을 한번 접어서 두툼한 전이 달리게 만들었다. 앞뒤로 끈을 달아 어깨에 멘다. 무게는 1㎏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형태이다.

④ 바닥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이 되게 짜고 목을 길게 하였다. 목에는 끈을 달아 주머니처럼 조일 수 있다. 제주도에서 쓰는 것으로, 씨를 담고 처마에 매달아 갈무리하기도 한다. 무게는 400g이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