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전 ()

목차
관련 정보
강화 전등사 약사전 정측면
강화 전등사 약사전 정측면
불교
유적
약사여래를 봉안하고 있는 절의 불전을 지칭하는 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약사여래를 봉안하고 있는 절의 불전을 지칭하는 용어.
내용

보통 동향(東向)으로 되어 있다. 당우 내에는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협시(脇侍:좌우에서 보좌함)로 봉안한다. 약사여래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하는데, 동방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에 거주하면서 모든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재화를 소멸시키며 원만행(圓滿行)을 닦게끔 하여 무상보리(無上菩提)의 묘과(妙果)를 증득하게 하는 부처이다. 그는 과거세에 약왕이라는 이름의 보살로 수행하면서 중생의 아픔과 슬픔을 소멸시킨다는 십이대원(十二大願)을 내어 그 공덕으로 부처가 되었으며, 중생의 한량없는 고통을 없애 준다고 한다. 그의 이름을 외우고 가호(加護)를 빌면 모든 재액이 소멸되고 질병이 낫게 된다는 약사신앙은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강한 설득력과 호소력을 가진 것이었다. 그리하여 고대 우리나라의 뺄 수 없는 중요한 신앙형태가 되어 대부분의 사찰에 약사전이 건립되었다.

법당 내의 약사여래상은 보통 선정인(禪定印)을 취한 수인(手印) 위에 약함을 놓고 있는 경우가 많다. 후불탱화(後佛幀畵)로는 약사여래의 정토인 동방약사유리광회상도(東方藥師瑠璃光會上圖)가 봉안된다. 원래 이 탱화에는 약사삼존불과 호법신장(護法神將)인 12신장을 함께 묘사하나, 우리나라 약사전의 후불탱화는 호법신을 사천왕(四天王)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건물 내부는 대웅전과 같이 닫집(天蓋:불상 위 천장에 설치하는 집 모양의 구조물)을 만들고,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주위에는 돌아가면서 연꽃과 비천 등을 묘사하게 된다.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전등사 약사전과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송광사 약사전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화연구(韓國佛畵硏究)』(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부, 1980)
『한국(韓國)의 사찰(寺刹) 4·통도사(通度寺)·』(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