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경규일의 ()

목차
과학기술
유물
조선 후기에 사용되었던 해시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사용되었던 해시계.
내용

같은 크기의 3장의 직사각형 구리판자 또는 나무판자를 배치해 만든다. 이들 3장의 판자를 각각 공판(空版) · 횡판(橫版) · 입판(立版)이라고 한다.

공판은 태양을 향해 연직으로 세워 그림자를 만드는 작용을 하므로 이것은 양경규일의의 영표(影表)의 구실을 한다. 그리고 공판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것에 절후선(節候線)과 시각선(時刻線)이 그어져 있지 않은 빈 판이기 때문이다.

횡판과 입판에는 각각 같은 간격의 평행한 종직선(縱直線) 37개가 그어져 있는데 이것이 절후선이다. 이들 절후선은 횡판에서 입판으로 이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절후를 초후(初候) · 중후(中候) · 말후(末候) 등으로 3분한다.

3개의 판을 장치해 놓고 입판 쪽에서 공판 쪽을 향해 바라볼 때 왼쪽 첫줄은 동지초후선이고, 오른쪽 첫줄은 하지초후선이다. 37개의 평행종직선은 [표]와 같다.

하지 초후
하지 중후 망종 말후
하지 말후 망종 중후
소서 초후 망종 초후
소서 중후 소만 말후
소서 말후 소만 중후
대서 초후 소만 초후
추분 초후 춘분 초후
대서 초후 소만 초후
대서 중후 동지 말후
대서 말후 동지 중후
동지 초후
〈표〉 37절후선

이 해시계의 공판을 태양 방향으로 향하도록 세워놓고 횡판과 입판에서 공판의 그림자를 받게하는데, 이때 공판 윗변의 그림자와 절후선과의 교점이 그 절후에서의 시각을 알려준다. 이 시각은 태양의 고도에서 오는 것이고 태양의 고도는 태양의 적위와 관측지의 위도 및 태양의 시간각에 관계된다.

일년 중 같은 시각을 연결해 얻은 곡선이 시각선이다. 시각선은 절후선을 비스듬하게 끊어 지나는데, 대체로 모든 시각선이 S자형이 된다. 이 곡선은 동시곡선(同時曲線)이다.

동시곡선 중 오정선 · 오초미초선 · 사정미정선 · 사초신초선 등 네댓개는 횡판과 입판에 걸쳐 있다. 하지만 나머지 동시곡선인 묘초술초선 · 묘정유정선 · 진초유초 · 진정신정 등의 네댓개는 횡판에는 걸치는 일이 없이 입판에만 투영되도록 만들어졌다.

입판을 수평으로 놓지 않고 경사지게 약간 세우는 이유는 공판 그림자의 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즉, 겨울철과 여름의 아침 · 저녁에는 공판의 그림자가 너무 길어서 이 그림자 전체를 모두 받기 위해 입판을 경사지게 한 것이다.

현재 이 원리를 쓴 것은 횡표입표일구(橫表立表日晷)라는 이름으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의기집설(儀器輯說)』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