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투(花鬪)는 1월부터 12월까지 각 달에 해당하는 그림이 네 장씩 짝을 이루고 있다. 「화투풀이」 노래는 화투에 그려진 열두 가지 사물이 중심 소재이다. 정월에서부터 섣달에 이르기까지 열두 달에 따른 화투의 특성이 월령체(月令體)로 노래된다. 예를 들면, “정월솔가지 속속한마음/이월매조에 맺어놓고/삼월사꾸라 산란한마음/사월흑사리가 허송하다/오월난초 나비가날라 유월목단에 춤잘춘다(후략)” 같은 방식이다. 대부분 가창자들은 이 노래를 창부타령(倡夫打令)조의 굿거리장단으로 부른다.
「달풀이」는 달 이름 첫 글자를 따서 엮어 나가는 노래이다. 사설 구성 방식에 따라 숫자를 제시한 뒤 그 수에 따른 내용을 엮어나가는 형태와 개별 세시 풍속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상황과 낱말을 이어가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운수에 들어 있는 액을 그달의 명절로 막아내자는 노래, 정월부터 섣달까지 각 달에 따른 효도와 관련된 노래가 있다.
「떡타령」에서는 떡의 명칭이나 특징이 나열되기도 하고, 열두 달과 그에 맞는 떡이 노래되기도 한다. "이치 저치 시리떡/늘어졌다 가래떡/오색 가지 기자떡/쿵쿵 쳤다 인절미"와 같이 수식어와 피수식어로 이루어진 통사 구조의 반복, "정월 보름 달떡이요/이월 한식 송병이요/삼월삼질 쑥떡이로다"와 같이 각 달에 따른 떡의 나열 등의 표현 방식이 활용된다.
「숫자풀이」 노래에는 숫자의 첫음절과 그에 따른 내용을 엮어나가는 형태와 숫자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상황과 낱말을 이어가는 형태가 있다. 각 형태에 따른 예를 들면, "일품대상 이완용아/이굴돌사 못할망정/삼천리내 이씨왕토/사백만을 도매하여/오정채미 된단말가/육조참사 좋은날경(후략)", "일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일선에 갔는 우리낭군 돌아오기만 기다린다/이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이승만이 대통령은 남북통일만 기다린다/삼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삼천만의 우리동포 해방되기만 기다린다(후략)"와 같다.
「지명풀이」는 각 지역의 지명을 풀이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사설 구성 방식에 따라 지명을 앞세워 풀어나가는 방식, 지명과 관련된 사설을 앞세우고 뒤에 지명을 제시하는 방식, 그리고 지명에 쓰인 한 음절을 앞세워 반복하는 형태가 있다.
「한글풀이」 노래는 한글 자음의 운(韻)을 먼저 띄운 다음, 그 운에 맞추어 사설이 이어진다. 한글의 말소리인 기역, 니은, 디귿이나 가갸거겨, 고교구규 등의 한글 말소리를 가사로 활용하여 부른다. 주된 내용은 남녀 간의 사랑, 임을 향한 그리움, 떠난 임에 대한 원망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