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Ethiopia)

에티오피아의 국기
에티오피아의 국기
외교
지명/국가
아프리카 동북부 홍해에 면한 공화국.
이칭
이칭
에티오피아연방민주공화국,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아프리카 동북부 홍해에 면한 공화국.
개관

정식 명칭은 에티오피아연방민주공화국(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이다. 면적은 110만 4300㎢, 인구는 9946만 5819명(2015년 현재)이며, 수도는 아디스 아바바(Addis Ababa)이다.

주민은 오모로족이 35%, 암하라족이 27%, 티크레이족이 6% 등 80여개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는 암하릭어와 영어가 사용되는데, 암하라는 암하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란 의미이다. 종교는 에티오피아 정교 45%, 이슬람교 35%, 토착종교 15%이다.

국토의 절반이 고원이며, 저지대는 아주 덥고 비도 거의 내리지 않아 사막을 이룬다. 주요 산업은 커피 생산이었으나 국제수지 악화로 국민소득은 적은 편이다. 천연자원은 풍부하지 않으나 금·은·동 등 광물은 비교적 많이 산출된다.

2015년도 국민총생산은 576억 달러이고, 1인당 국민소득은 619달러이다.

이 나라는 이원집정제의 공화제로, 총리가 실권을 가지며, 의회는 양원제로, 임기 각각 5년의 상원(108석)과 하원(547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정당으로는 에티오피아인민혁명민주전선(EPRDF), 민주연합당(UEDP), 오로모 해방전선(OLF) 등이 있다.

약사

이 나라는 기원전 1000년경에 이미 고대 에티오피아왕국으로 성립하여 16세기까지 중세형 국가를 유지하였으나 1889년 이탈리아의 보호령이 되었다. 1896년 10월 독립하였으나 1935년 무솔리니에 의해 다시 정복당하기도 하였고, 1944년 완전 독립하였다.

1930년 이래 셀라시에(Selassie, H.) 황제 치하에서 비교적 안정되었으나, 1974년 9월 군부쿠데타에 의해 사회주의국가가 되었으며, 친소좌경노선을 대외정책으로 삼아왔다.

그 후 거듭된 지역간 분쟁과 내란, 기근 등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에티오피아인들이 인근 국가로 피난하는 등 혼란을 겪고 있다. 1991년 반정부세력에 의해 군사정권이 붕괴되었다.

1994년 12월 신헌법을 제정하였다.

대외정책은 중도중립의 비동맹중립외교를 펴고 있으며, 1945년유엔에, 1961년비동맹회의에 가입하여 인근의 국가와 선린평화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와는 1963년 12월 23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1965년 3월 상주공관을 개설하였다. 이 나라는 6·25전쟁 당시 보병 1개 대대를 파병한 바 있으며, 셀라시에 황제가 방한한 바도 있으나 사회주의정권이 들어선 뒤로는 한국과 정치적으로 소원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1969년 5월 의료기술협력 협정을 체결한 이래 1992년 11월에 경제·기술협력 협정, 1998년 10월에 문화 협정, 2003년 4월에 무역 협정 등을 체결하여 친선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2015년 현재 1억 6883만 달러로 백신, 화학제품 등이 주종목이고, 수입액은 5543만 달러로 커피, 참깨 등이 주종목이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경남기업, 명성병원 등이 진출해 있으며, 약 460명의 한국인이 체류하고 있다.

한편, 북한과는 1975년 6월 5일 외교관계를 수립한 뒤 상호 상주공관을 개설하고 있으나, 2002년 4월 상주공관을 폐쇄하였다. 1975년 11월에 항공봉사 협정, 1985년 12월에 경제 및 기술협조협정, 2000년 5월에 문화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2008년 4월에는 보건협조에 관한 합의서를 교환한 바 있다.

참고문헌

『세계각국편람』(외교통상부, 2008)
『한국의 창』(동아일보사, 2008)
『해외동포현황』(외교통상부, 2007)
『세계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2007)
『주요수출입통계』(관세청, 2007)
『제3세계론』(신정현, 일신사, 1986)
『아프리카 아프리카』(최평규 편, 국풍, 1983)
『아프리카정치론』(하경근, 일조각, 197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