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 ()

목차
고대사
개념
삼국시대의 연호.
목차
정의
삼국시대의 연호.
내용

1926년 경주 서봉총(瑞鳳塚)에서 발굴된 은합(銀盒)에 새겨진 명문 속에 있다. 명문은 유물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기 새겨져 있는데, 연수 원년이 간지(干支)로 신묘(辛卯)임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연수는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한 적이 없고 우리의 문헌 기록에도 보이지 않는 연호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호임이 분명하며, 그 연대를 451년으로 비정하는 것이 통설이다. 그렇지만 신라는 536년(법흥왕 23)에 처음으로 연호를 제정하였으므로 그 이전의 신묘년에 해당하는 391·451·511년에는 비정할 수 없다. 고구려의 연호인 듯하다.

참고문헌

『한국금석유문(韓國金石遺文)』(황수영 편, 일지사)
「연수재명신라은합우(延壽在銘新羅銀合杅)에 대한 일이의 고찰」(이홍직, 『한국고대사의 연구』, 신구문화사, 1971)
「고구려의 연호」(왕광석, 『계촌민병하교수정년기념사학논총(溪村閔丙河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