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강 ()

목차
고대사
개념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호.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호.
내용

1947년 평안남도 평양 평천리의 폐사지에서 발견된 금동 광배의 명문에 나온다. 명문은 모두 7행 54자이다. 중국의 후한·진(晉)·후연·서진(西秦)에서 영강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적이 있으나, 명문에 나오는 7년을 넘긴 경우는 서진뿐이며 이 금동 광배의 연호와는 관계가 없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이 불상명문의 ‘영강’은 고구려에서 사용한 연호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명문에 간지가 없기 때문에 확실한 연대는 추정할 수 없다.

참고문헌

『한국금석유문(韓國金石遺文)』(황수영편, 일지사, 1981)
『한국미술사』(김원룡, 범문사, 1968)
「고구려의 연호(年號)」(왕광석, 『계촌민병하교수정년기념사학논총(溪村閔丙河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