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 크루그르이성지 ( kŭrugŭrŭi )

선사문화
유적
옌하이저우 아르세니예프카강 유역에 자리하는 발해의 산성.
이칭
약칭
크루그르이성
이칭
노보고르데예브카성
유적
건립 시기
8~10세기 초
관련 국가
발해
높이
북벽 약 3.5m
길이
동서 190m, 남북 230m
소재지
러시아 옌하이저우〔沿海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연해크루그리이성지는 옌하이저우〔沿海州〕 아르세니예프카강 유역에 자리하는 발해의 산성이다. 이 산성은 처음에 ‘크루그르이성’으로 소개되었으나, 지금은 이웃하는 마을 이름을 딴 ‘노보고르데예브카성’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성은 산의 북쪽 완만한 비탈면에 축조되었으며, 평면 모양은 오각형에 가깝다. 성의 규모는 동서 190m, 남북 230m이다. 성의 내부에는 24개의 계단식 대지가 조성되어 있다. 초기 철기시대, 발해, 그리고 금나라 대 여진의 문화층이 확인되었으며, 발해 시기의 구들 주거지도 발굴되었다.

정의
옌하이저우 아르세니예프카강 유역에 자리하는 발해의 산성.
발굴경위 및 결과

노보고르데예브카성에 대한 발굴 조사는 1965년, 1966년, 19701973년, 19861987년, 2000~2001년에 각각 실시되었다.

발굴 조사에서 초기 철기시대 얀콥스키-리도프카 문화와 올가 문화, 발해, 그리고 여진의 문화층이 각각 확인되었다. 발해의 문화층은 성 내의 모든 발굴 지점에서 확인되었으며, 성내의 북서쪽 제13구역에서는 발해의 구들 주거지(18호)가 1기 조사되었다.

18호 주거지는 평면이 직사각형인 지상 방식이며, 면적은 약 20㎡이다. 주거지 가장자리를 따라 6개의 기둥구멍이 서로 대칭을 이루게 배치되어 있다. 고래는 2줄이고, 평면은 ‘ㄱ’ 자 모양이며, 굴뚝은 주거지 밖에 위치하였다. 발해의 유물로는 철제 화살촉, 윤제토기(輪製土器) 등이 출토되었다.

형태와 특징

노보고르데예브카성은 옌하이저우의 아누치노 지구 노보고르데예브카 마을 북동쪽 3.5㎞ 거리의 홀로 있는 산에 자리한다. 성의 북서쪽 아래에는 아르세니예프카강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흐른다. 이 산성은 처음에 유적이 있는 산의 이름을 따서 ‘크루그르이성’으로 소개되었으나, 지금은 이웃하는 마을 이름을 딴 ‘노보고르데예브카성’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성은 이 산의 북쪽 비탈면에 축조되어 있는데 평면이 오각형에 가깝다. 성의 규모는 동서 190m, 남북 230m이며, 강 가까이에 있는 북벽이 가장 튼튼하게 축조되었다. 북벽이 가장 잘 남아 있고, 동벽도 잔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북벽의 잔존 높이는 약 3.5m이다.

성벽은 흙을 층으로 다짐하여 쌓았지만, 서벽에서는 발해 시기의 목책(木柵) 흔적이 조사되기도 하였다. 북벽과 동벽 북쪽 부분 바깥에는 평지 부분에 보조 성벽이 있다. 성의 문지(門地)는 북동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다.

성의 내부에는 인공적으로 만든 24개의 테라스가 계단식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각 테라스의 너비는 5~15m이지만 예외적으로 너비가 25m 이상인 것도 있다. 성내의 남서쪽 가장자리에는 20×20m 크기의 보루가 하나 있다.

의의

노보고르데예브카성의 동쪽 가까이에는 소그드인 거류지로 평가되는 노보고르데예브카 취락지가 위치하여, 이 두 유적은 상호 유기적인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평가된 바 있다.

참고문헌

논문

정석배,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선사와 고대』 54, 한국고대학회, 2017)
Болдин В.И., Ивлиев А.Л., Многослойный памятник Новогордеевское городище - материалы раскопок 1986-1987 годов // Труды ИИАЭ народ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ДВО РАН, Том XI, Актуальные проблемы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й археологии(Владивосток, Дальнвука, 2002)[볼딘 V.I., 이블리예프 A.L., 「다층위 유적 노보고르데예브까 성 - 1986~1987년도 발굴 자료」(『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저작들』 권11, 극동고고학의 당면 문제들, 블라디보스톡: 달나우까, 2002)]
Болдин В.И., Дьякова О.В., Сидоренко Е.В., Новогордеевское городище как источник для периодизации культур Приморья // Проблемы средневековой археологи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Владивосток: Институт ИАЭНДВ ДВО АК СССР, 1990). [볼딘 V.I., 디야고바 O.V., 시도렌꼬 E.V., 「연해주 문화들의 시기구분을 위한 자료로서의 노보고르데예브까 성」(『극동 중세고고학의 문제들』, 블라디보스톡: 소련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