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한광사 경내에 설치된 보호각에 봉안된 비로자나불로 1980년 영천 화남리 삼층석탑(보물, 1980년 지정)을 해체·복원하는 과정 중 기단부 내에서 발견되었다. 둥근 얼굴형, 양감 없는 밋밋함, 지권인의 수인, 불보살상과 사자상이 새겨진 팔각연화좌 등이 특징인 통일신라 말∼고려 초기의 불상이다.
석조여래좌상은 원래 영천 화남리 폐사지의 삼층석탑 기단부 내에 있었다. 사찰이 폐사되고 법당이 없는 상태에서 석탑 기단의 면석이 떨어져나간 공간에 불상을 넣어 봉안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석탑 해체 과정에서 불상을 꺼내어 옛 사찰터에 중건된 한광사 뜰에 지은 보호각 안에 봉안하였다.
화남리 불상은 지권인을 취한 비로자나불로서 안정적인 신체비율, 둔중한 몸, 둥근 얼굴과 머리, 통견식 대의에 등간격의 균일한 옷주름, 반듯하게 다듬어 직각으로 꺾인 무릎 등이 특징이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불보살상과 사자상, 귀꽃 등이 조각된 팔각연화좌로 통일신라 9∼10세기 전형적인 양식이다. 얼굴이나 대좌 문양 등은 마모가 심해 세부표현을 알아보기 힘들지만 불상과 대좌의 특징들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863년),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867년) 등 9세기에 유행했던 비로자나불과 유사하다. 그러나 화남리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비로자나불상보다 더 도식적이고 반복적인 평행 옷주름 등에서 경북지역 비로자나불의 영향을 받은 10세기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한편 각이 진 무릎 표현은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만큼 독특한데 무릎과 더불어 신체 측면, 뒷면 등의 직선적인 조형은 탑 내에 봉안하기 위한 용도의 여래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발견 당시에 오랜 세월 막힌 공간에 봉안되어 이끼 등의 이물질이 많이 끼여있었으나 현재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대적광전 편액을 건 작은 보호각 아래에 봉안되어 있다.
나말여초에 제작된 비로자나불로서 석탑 기단부에서 발견되어 유일하게 완형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 귀중한 작품이다. 9세기 비로자나불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양감이 적고 딱딱한 조형감각 등에서 고려 10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식을 보인다. 또한 훼손된 능지탑 내 불상 봉안의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는 자료로 가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