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정 ()

목차
건축
유적
북한 자강도 초산군 초산읍에 있는 조선후기 박정표가 건립한 합각지붕 형태의 누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자강도 초산군 초산읍에 있는 조선후기 박정표가 건립한 합각지붕 형태의 누정.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합각지붕건물. 남산 중턱의 기암절벽에 있는 영호대 위에 1720년(숙종 46)박종표(朴宗標)가 지었는데, 1910년 개축하였다.

바닥은 널마루를 깔았고, 기둥은 흘림식기둥이며, 두공(枓栱)은 2익공을 짜올렸다. 천장은 소란반자(小欄盤子)와 통천장을 하였다. 조각으로는 측보머리의 용조각, 동자기둥[童子柱]의 제공(諸貢) 조각, 화반(花盤 : 주심도리 밑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의 연꽃조각과 귀면조각이 정교하고 세련되었다.

건물에는 비교적 간결한 모루단청[毛老丹靑 : 머리초에만 칠한 단청]으로 장식하였다. 영호정은 벼랑 밑을 감돌아 흐르는 강물이 이 누정 아래에서 호수처럼 되었는데, 여기에 누정의 그림자가 비끼어 아름다운 경치를 이룬다는 데에서 나온 이름이다.

참고문헌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